• 배코2 · 1278776 · 12시간 전 · MS 2023

    제 생각엔 황 결핍 효과가 일어나는 이유는 (=제시된 개념의 결과) 단백질의 기능을 방해시키는 산소를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 개념의 결과(최종목적)는 녹조류의 산소 발생을 방해시켜 산소 생산 제어하는 거 아닐까요? 만약 산소 생산제어가 아닌 황 결핍효과로 인해 산소 생산을 활성화시키기도 한다는 결과가 나왔으면 (가)도 맞다고 볼 수 있는데 세포의 성장단계에 따라 수소 생산량이 달라지는걸 보고 저 개념의 결과(산소가 결국엔 제어가 된다)가 달라진다고 볼 수 없을 거 같아요

  • 올해가자ㅜㅜ · 1159300 · 12시간 전 · MS 2022

    헐 정말 감사합니다ㅠㅠ

  • 홈런볼 사냥꾼 · 1305014 · 12시간 전 · MS 2024

    이거 제 생각엔
    (가)의 황결핍 효과의 정의는 '황이 부족한 상태' 라서 '개념' 그 자체만으로는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나지' 못하고 수소 생산의 증가와 감소라는 상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만 있습니다.

    반면,(나)의 외부성의 정의는 '시장 참여자의 경제 행위가 다른 참가자들에게 편익이나 손해를 가져오는 것' 이므로 '개념' 자체만으로도 상반되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인 것 같습니다.

    아닐 수도 있으니까 웬만하면 윗 분 말대로 이해하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