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elsior96 [651957] · MS 2016 (수정됨) · 쪽지

2016-10-31 22:24:13
조회수 2,568

사회문화 표본집단 관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9478332

13년 6평 13번문제)

(중략) 이를 검증하기 위해 (ㄴ)OO고등학교에서 학업 성취도 수준이 유사한 (ㄷ)두집단을 무작위로 추출함으로써 합업 성취도에 영항을 주는 주요 변수들을 통제했다.
2번 선지: ㄴ은 모집단, ㄷ은 표본집단이다.

ez0쌤은 ㄴ은 모집단이 아니라 표본집단이고, ㄷ도 표본집단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ㄷ도 표본집단이 되는 근거가 뭐죠?? 원래 정의상 표본집단은 모집단에서 실제 조사를 위해 선택된 집단인데 표본집단 중에서 또 일부를 선택하면 그것도 표본집단이라고 봐도 되나요?

작년 9평을 박spring쌤이 해설하실 때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는데 500명 500명씩 두집단으로 나누어서 각각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설정하는 상황에 대해서, 그 두집단은 표본집단이 아니라고 하셔서 혼란이 오네요...



추가 질문) 면접법과 참여관찰법 모두 조사 대상자와의 정서적 교감이 중시된다고 ez0쌤이 해설하셨는데 참여관찰법은 어떻게 정서적 교감이 중시되죠?? 그냥 관찰하는 것일 뿐인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Praha · 441451 · 16/10/31 22:27 · MS 2013

    표본집단의 표본집단도 푭ㅎㄴ집단아님?

  • Excelsior96 · 651957 · 16/10/31 22:29 · MS 2016

    히익 푭ㅎㄴ집단!!!

    그런데 왜 1000명을 500명 500명으로 나눈 집단은 표본집단이라고 못하죠??

  • Praha · 441451 · 16/11/01 14:03 · MS 2013

    밑에말대로 그건 표본을 뜬게 아니라 비교그룹을 뽑은거라서

  • 혁명 · 654084 · 16/11/01 14:02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잉앙당장낭상항 · 689500 · 16/11/01 01:41 · MS 2016

    1000명 500 500나눈건 실험/통제 집단 구분아녜요?

  • 혁명 · 654084 · 16/11/01 13:59 · MS 2016

    참여관찰법은 말 그대로 참여해서 관찰하면서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이에요.

    가령, 아프리카 원주민의 생활을 연구하기 위해 실제로 아프리카에 가서

    원주민들이랑 같이 생활하면서 연구를 진행하는 거죠.

    당연히 조사 대상자와의 정서적 교감이 중요합니다.

  • 혁명 · 654084 · 16/11/01 14:14 · MS 2016

    기본적인 개념을 헷갈려 하시는 것 같네요.

    사회조사에서 조사 대상이 되는 전체를 모집단이라고 하고,

    모집단 중에서 실제 조사를 위해 선택된 집단을 표본집단이라고 합니다.

    1000명 자체가 실제 조사를 위해 선택된 집단이고,

    A. 500명/ B. 500명으로 나눠서 A에는 실험 처치를 가하고, B는 A와의 차이를

    보기 위해 내버려 두면,

    우리는 A를 실험집단, B를 통제집단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실험법에서 쓰이는 용어이구요.

    모집단/표본집단의 개념은 사회 조사 전체(면접법,실험법..등)에서

    쓰이는 용어입니다.

    굳이 표현하자면 1000명 자체를 표본집단,

    500명/500명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를 하는 것이 맞겠네요.

    실제 시험에서는 실험집단/통제집단, 모집단/표본집단만 구분하실 줄 알면 됩니다.

    올해 연계교재인 수능특강에도 나와있으니 참고하세요..

  • Excelsior96 · 651957 · 16/11/01 15:39 · MS 2016

    감사합니다
    그러면 표본집단은 전체 중에서 일부만을 뽑을 때만 해당하는 개념이고
    1000명 사례와 같이 단순히 한 집단을 두가지로 분류하는 것 (추출하는 것과 다름)은 표본집단이라고 보기에는 어색한거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