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량공급] 역대(~2016) 수학,영어 난이도 변화 추정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8396189
이 글은 스크롤 압박이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이번 글에서는 7차교육과정 이후 수학,영어의 수능 난이도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난이도에 대한 사전적 정의는 어렵고 쉬운 정도를 의미하나 교육학의 고전검사이론에서는 개별문항에 대한 난이도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으며 전반적인 시험 난이도에 대한 지표는 따로 정의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편 난이도와 대비되어 변별도라는 용어가 있는데, 흔히 변별력이라고 하는 단어가 이에 해당하는데, 이 역시 개별 문항에 대한 난이도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변별도는 상위50%의 정답률과 하위50%의 정답률의 차이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논하는 (시험)난이도는 교육학에서 다루는 (문항)난이도,(문항)변별도와는 차이가 있음을 미리 밝힙니다. (필자가 개인적으로 만든 용어임) 본 글에서는 개별문항에 대한 난이도는 다루지 않고, 시험의 전반적인 체감난이도를 수치화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출 반복을 통한) 수험생의 평균적인 실력이 증가할 수 도 있다는점은 간과하였는데 이에대한 분석은... 저의 역량에서는 다루기 매우 어려운 내용입니다.
표에서는 제가 정의한 두가지 수치(α난이도 , β난이도)를 바탕으로 접근을 하고 있는데, MB정부 당시 "쉬운 수눙"을 캐치프라이즈로 만점자 1% 정책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당시에는 만점자 비율에 따라 수능의 난이도를 논하였습니다. 그런데 2016학년도 수능을 앞두고 김영수 평가원장의 인터뷰에서는 과목별 난이도는 만점자 비율이 아니라, 표준점수의 최고점과 관련이 있으며 한문제만 매우 어렵게 출제하여 만점자 비율을 낮추고 시험을 쉽게 출제할 수 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2016학년도 수학A형의 경우 체감하기에 전반적으로 쉬웠으나 30번만 굉장히 어렵게 출제하여 4%의 정답률(메가스터디 추정)을 보였습니다.
표에 대한 설명 및 시험 난이도에 대한 정의
α난이도
α난이도는 표준점수 최고점을 이용하여 정의한 지표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독립적이지 않는 문항들의 정답률(?)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수능의 표준점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되는데 (원점수-평균)/(표준편차)에 해당하는 부분을 z점수라 하는데, 가령 2011학년도 수리가형에서 만점의 표준점수가 153점이였는데, 이는 100점이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2.65배 만큼 떨어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표준정규분포표에 따라 만점을 맞을 확률을 구해보면 0.4%정도 산출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난이도"는 숫자가 클수록 어렵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 만점의 표준점수와 관련된 난이도 또한 숫자가 클수록 어려운 것을 의미하게 하려고, 다음과 같은 식으로 변형하였습니다.
이 α난이도는 값이 10씩 증가할 때 마다 만점을 맞을 확률이 50%씩 감소합니다. 즉 10씩 증가할 때 마다 만점을 맞을확률이 2배씩 감소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2011학년도 수리가형의 α난이도를 구하면 79.57, 2016학년도 수학B형의 α난이도를 구하면 34.98이 산출됩니다.
표로 정리하면 위와 같은데, α난이도가 30차이나면 8배 어려운것이며, 16정도 차이나면 3배정도 어려운것입니다.
β난이도
β난이도는 변별도와 관련이 있는 지표입니다. 구체적으로는 1등급 학생들 중에서 만점자 비율을 활용하였습니다. 보통 언론보도에서는 응시인원 중 만점자의 비율을 사용하는데, 이 표에서 만점자 비율을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6월 모의평가나 9월 모의평가와 대비하여 수리나형으로 이탈하는 학생의 수가 유의미하게 차이기 때문으로 역대 과목별 수능 응시인원을 찾기 귀찮아서 1등급 인원을 분모로 설정하였습니다. 구체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석하는 방법은 위에서 해석한 방법과 동일합니다.
2011~2016 수학, 영어 난이도의 변화
여기 까지 읽느라 수고가 많았습니다. 마지막으로 α난이도를 x좌표 β난이도를 y좌표로 하여 변화를 관찰해 보았습니다.
수학 가형의 경우 만점의 표준점수는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만점자 비율도 2011학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2016)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수학 나형의 경우 2015학년도 대비 2016학년도의 난이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였는데, 표준점수의 최고점은 13~14수능보다 낮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가형/나형의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2011학년도의 수리가형 난이도가 얼마나 높았는지 체감이 될까요?
영어가 지난해 크게 어려워 학생들이 많은 혼란에 빠졌습니다. 2014학년도의 영어는 A/B분리로 하위권 학생들이 A형을 선택함에 따라, 다른 년도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불가능 합니다.
2014학년도 수능 이후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2016학년도 수능을 응시한 학생들은 모의평가로 박스권에서 벗어난 시험을 치룬적이 없는데, 갑자기 수능에서 어렵게 출제하였습니다.
(2014학년도와 거의 비슷한 난이도인 것 처럼 보이나, 2014학년도는 A형으로 빠진 인원 때문에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낮아보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탈퇴하기가 안보여서요
-
사탐이정배다 2
메디컬에서 대깨설까지 커버가능한 사탐을하자 흐흐흐흐흐
-
삼수 시작할때도 0
대깨 투과목 했음 18수능 수학 5등급이었어도 서울대의 꿈은 못 버림...
-
n제 0
샤인미 설맞이 포카칩 이로운 지인선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버스에서 창가 쪽 자리 비워두고 굳이 복도 쪽부터 앉는 사람들 보면 개때리고...
-
표점 백분위 전부 웬만해선 방어 가능
-
ㅎㅇ 0
제곧내
-
물2는 서울대 보는거 아니면 백분위가 너무 박살이라 굳이 안하는걸 추천합니다 만점이...
-
물2화2로 서울대 가는 난이도 << 물1화1으로 서울대 가는 난이도 이게 맞음...
-
소신발언 0
사실 25수능 1-15번까지 중에 한 번 돌 때 유일하게 못 푼 게 10번이었음...
-
점메추받 3
습니다
-
대학교 위치 0
대학교 위치가 금천구 시흥동이면?
-
투:예상보단 컷이 높지만 그럴만한 적절한 난이도 사탐:천국...
-
25학번들아 미안해
-
중대식으로 746.50인데 추합 가능성 있을까요? 몇점 정도에서 끊기는게 정배인가요..?
-
문학 국영수사과국사일어 다 내신이든 수능이든 공부하는 건 재밌는데 수능 문학은 못해먹겠음
-
흐흐 3시간만 하면 퇴근이당
-
서울대공대 생각있는데 거친다면 생기부면접인가요? 아니면 제시문면접인가요?
-
미적 표점 다 확통으로 흡수 당했다니까
-
특히 국어에서 몇번이 더 정답으로 많이고를것같냐고 그런거말고 두번째로...
-
ㄱㄱ
-
작수 5였고 재수하는데 뭘로 하면 좋을까요 작년엔 김승리 들엇는데 올핸 메가만 끊어서 ㅠ
-
삼수 시작할 때는 14
투과목 고려도 안 했었음 24수능 수학 75점인데 탐구를 어떻게 바꿈ㅋㅋ
-
ㅈㄱㄴ
-
우석약 빠질게요 2
제주수의 제발 붙여주세요~~추합되면 우석약 빠집니다!
-
6평 해보고 사문돌릴지도
-
잊음을 논함 3셋인데 정작 잊음을 논함은 쉬웠음
-
사회문화 같은 허접이랑은 비교도 안되게 강력해요오오..
-
ㅅㅅ용 기구인지 모르겠음 씨발 진짜 너무함
-
투과목 비필수 시대에 맞는 적절한 난이도로 변별했다고 생각함 원과목은 과목이 아님
-
국어는 살면서 공부해본적 없고 이번에 올오카 오리진 25수능 1-34번까지 2시간...
-
중량스쿼트랑 레그프레스 너무 힘들어요…
-
아침부터 이렇게 건전한 메타 도는게 신기함 저랑 경제 난이도에 관한 얘기 하실분
-
고3때 나... 5
포켓몬스터 블랙,블랙2,소울실버 클리어 응원하는 축구팀(2개) 경기 다 챙겨보기...
-
빠꾸를 좀 많이먹지 않았나싶음 공통선택 안가리고 뭔가 발전여지가 많은데 일차원적으로...
-
얼버기 8
-
국어- 강기본 3권+ 마더텅 문학독서 일부(2주간 하루 총 2,3지문정도 할겁니다!...
-
240915, 241115 ㄱㄴㄷㄹ 이거 선지 4줄로 늘려서 단순 ㄱㄴㄷㄹ OX를...
-
과목 선택하고, 문제 번호들 입력하면 문제 이미지 가져와서 알아서 시험지로 ㅋㅋ
-
아쉽
-
법적으로 로스쿨 못가고 경찰만 할 수 있었으면 입결 어느정도였을거 같음? 중경외시급일거 같은데
-
킬러배제와 난이도 확보를 둘다 잡지 않았나싶음 그런 기조 자체는 24에서 이미 예고한 바 있었고
-
SK하이닉스, 구성원에 '새출발 격려금' 자사주 30주 지급(종합) 5
지난달 총 1천500% 성과급에 이어 격려금 추가 지급 노사 "위로와 미래 협력을...
-
이미지 사은품 티셔츠
-
조건 다 줬자나 현장감 때문인듯
-
내년 수능도 올해 수능의 난이도와 준하는 정도로 출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라고요?? 1
음...국어는 음...
-
국어 지구 꼴은 게 진짜 너무 슬프네 강점이었는데
-
내가 잘 풀 수있나 궁금함
-
12월달정도에 입소한 사람들은 오늘부터 3~4일정도간 긴 휴가가 있다고 했던 것...
-
수1 쎈발점 끝냈고 수2 쎈발점이랑 수1 수분감 병행 하면 되나요? 아님 수2를 다...
혹시 읽기 귀찮아서 스크롤 내리다가 이 댓글을 보신건 아니겠죠?
들켰..다..
국어는 자료가 없나요?
ㅋㅋㅋㅋ귀찮아서 안만듬..
본 글보다 이 댓글에 좋아요 수가 훨씬 더 많네요ㅋㅋㅋㅋ
분석, 예측 지려따
엌ㅋㅋㅋ
돗자리 피셔야할듯ㅋㅋㅌ
역시 분석goat...
ㅋㅋㅋㅋ재밌네요. 음.. 수능 연도별 난이도 비교의 가장 큰 맹점이라 한다면.. 매년 표본집단의 지적 수준이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완벽한 비교는 불가하다는, 뭐 그런 생각이 문득 드네요.
학생 숫자가 몇백 몇천명인것도 아니고 몇십만명인데 의미 없는듯
닭띠라고 닭대가리는 아닐텐데...물론 영어 제외!
영어 15ㅋㅋㅋㅋㅋ
굿
이따가 보죠 뭐
2015수능 극혐ㅋㅋㅋㅋㄱ
GOAT량공급
오늘도 좋은 퀄리티 정보 잘 보고 갑니당
요약 : 2016 수능은 평가원에서 특히 문과생에게 핵통수를 날렸다
어차피 쉬울테니 공부해봤자 거기서 거기고 수능날 컨디션 좋은놈이 이김 ㅋㅋ
라고 생각하던 사람들을 철저히 응징
과탐은 응시집단수준차이때문에 만점자비율이나 만점표점으로 난이도측정하긴 어렵겠죠..? 난이도를알수있으면 역으로 응시집단 수준도 알 수 있어서 좋을 것 같은데.. 응시집단수준파악할수잇는 자료잇으면 과탐선택과목 선택하는데 좋을 것 같아요!
아쉽지만 수험생의 능력을 평가할수있는 방법이 없습니다.ㅠㅠ
곹량공급
Goat
좋은글 감사해요
그와중에 11 9모 수능 가형...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근데 16수학 a형 30번 정답률이 4퍼대가 맞나요
메가에 성적입력한 학생들 기준입니다
학력평가 단답형 4점 문제들의 전국 통계 정답률을 생각하면 실제로 저 문제 맞췄을 학생들 비율은 1% 채도 안될걸요
제가 현역때 치룬 09수능 수리 나형 난이도 장난아니였죠..ㅋㅋ1컷이 79점이였나..7차 교육과정에선 최고의 난이도였죠
ㅇㅈ합니다
감사합니다..
영어는 만점자 수로따지면 14년도가 극악이라고 볼수 있나요?
a형 응시자가 b형 만점을 받았을 리가 없으니..
전체적인 난이도는 알파지표로 파악하면 된다...로 봐도 무관하겠지요..?
개인적으로 수학 가형의 알파지표가 40 중반 선에서 왔다갔다 하면 좋을텐데 ㅠ
평가원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을 난이도라 말했으니..
좋은자료 항상 감사합니다. 잘하겠습니다.
물공님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한 눈에 쏙 들어오네요 ^^d
크으 입시는 물량공급!
표점 150점이 넘는 시절이 있었지...
15수능이 기회엿네..
확실히 작년 수학 나형 30번이 역대급이란걸 보여주네요 알파난이도는 중.하인데 베타난이도 1위..
14 영어 AB 고려하면 1위일까요? 개인적으로는 11보다 어렵다고 생각하는데
수학 가형의 경우 만점의 표준점수는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만점자 비율도 2011학년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2016)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여기오타같아요~ 베타값이 감소하니 만점자비율은 증가하지않나요?
네 맞습니다.. 오타네요
ㅋㅋ
지적감사합니다..
와.. 역시....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