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리키 [413194] · MS 2012 · 쪽지

2016-04-03 20:13:37
조회수 2,210

혹시나 행정학과를 지망하시는 분들께..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8229073

지극히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현재 중경외시 행정학과 다니고 있는데

솔직히 다른 학과 추천드리고 싶네요.

뭐 진로 이런 문제가 아니라

학문 자체가 너무 별로에요.

저도 그렇고 대부분 공무원 쪽으로 진로 잡고 행정학과 오실건데

행정학 자체가 독립적인 부분이 거의 없고 그냥 경제학+정치학+a 이거임(한마디로 잡학)

행정법 공부할 때 빼고는(행정학과 커리큘럼에 포함) 뭘 공부하는지도 모르겠어요. 

간단히 말해서 학문 매력도가 0. (표현을 못하겠는데 행정학 공부하신분들은 이해하실듯..)

정 행정학 공부하고싶으시면 경제학과 가셔서 행정학 복수전공 하시는게 훨씬 나을거에요.

공부하기도 더 쉽고.

그리고 공무원 시험 및 고시에서는 경제학이 훠얼씬 어렵게 나오기 때문에
(특히 국회 8급 및 고시)

공무원 되려면 경제학과쪽으로 가는게 메리트가 더 있을겁니다

(사실 7/9급 상위권들 사이에서는 행정학이 제일 점수가 안나오기는 하는데 그 특유의 말장난 때문이고.. 학문적 난이도가 높은 것은 아니에요)

행정이 전공이고 경제는 그냥 공무원 준비하느라고 공부했는데

경제가 훨씬 학문답고 배우는 재미도 있네요.


이렇게 써놓고 보니까 무슨 어그로 끄는것 같은데 그냥 행정학과 지망하시는 분께

행정학이라는 학문에 대해 알려드리고 싶었을 뿐입니다..

행정학은 고등학교때는 접하지 못하는 학문이니까요.

공무원 되고싶다고 무조건 행정학과 고르시지는 말았으면 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푸른봄극 · 499974 · 16/04/03 20:29 · MS 2014

    제 행정학과 친구가 하는 말이 행정고시 치러 행정학과 가는거는 점집차리려고 철학과 가는거라고 (과장을 보태서)농담하더라고요. 그만큼 행정고시와 관련성이 떨어진다는 의미인거 같아요

  • 이리키 · 413194 · 16/04/03 20:30 · MS 2012

    네 행정학 4년동안 전공으로 다배워봤자 고시치려면 학원 강의 새로 들어야합니다.

  • 플루토늄 · 451090 · 16/04/03 20:47 · MS 2013

    고시를 치려면 경제학과로 가야하져

  • 론리론리 · 636227 · 16/04/04 01:14 · MS 2015

    경제학과가 제일 좋아보임

  • 론리론리 · 636227 · 16/04/04 01:12 · MS 2015

    음 그런점이있구나

  • papillon · 594974 · 16/04/09 13:27 · MS 2015

    ;;;;연세대 행정학과 새내기인데 저는 제 전공 정말 만족합니다..우리나라 행정체계를 공부하면서 자부심 느끼는 점도 많고 공공성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보면서 뿌듯해가고 있는데 사람마다 느끼는바가 다르겠지요.. 진정한 학문이 뭘 뜻하는지는 모르겠지만 정치외교학이나 신방 경영학을 공부해도 님이 말히는 학문을 공부한다는 느낌은 안들겁니다..아무것도 모르는 수험생들한테 경험이랍시고 너무 주관적인 얘기만 하시는것 같아서 두서없이 적었습니다

  • 불확실하기에가능성을꿈꾼다 · 507606 · 16/05/02 20:54 · MS 2014

    굉장히 위험한 발언이고 논리가 아주 부족한 지극히 주관적인 글이네요
    수많은 행정학과 교수님, 재학생, 지망생들과 관련된 분들이 이 글을 읽고 어떻게 생각할 지... 그냥 행정학과에 대해 잘 모르면서 단편적으로 알고 있는 내용이 전부인 양 호도하는 듯 합니다. 학문 자체에 관심이 있어 행정학과를 지원한 학우도 공무원 염두에 두지 않는 학우도 많습니다. 더 이상 얘기하면 심한 말을 할 것 같아 접을께요

  • 연고16 · 579804 · 16/05/03 18:32 · MS 2015

    저도 연대 행정학과 새내긴데요 자기가 어떤 마음을 먹고 과를 선택하셨느냐에 따라 달라질 것 같네요. 행정학이  경제학처럼 딱 맞아떨어지는 논리성을 갖춘 학문은 아니지만 그건 공익이라는 이상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함이고요, 그쪽에 관심이 있으면 분명 흥미롭게 다가올겁니다. 잡학이라 하셨는데 요즘 같은 시대에 누가 한 분야만 팝니까. 사회문제는 결국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면에서 발생하는 것이고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학문의 관점과 매커니즘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