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1 첨 공부하는 노벤데 이 문제 틀리먼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71521061
문제 많이 풀어도 1등급 힘든가요?
제가 지금 일어나서 이 문제를 왜 틀렸나 생각해보니까 그래프 길이가 얼마나 감소했는지를 따졌어야 했는데 그게 안됐습니다.. 이건 n제 많이 풀면 극복되고의 문제가 아닌가요? 생1 첨 공부해서 저 문제가 어느정도로 쉬운건지는 모르겠지만 초딩도 맞추는 문제로 듣긴 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J.O.A.T 하루가 아깝냐?
-
-보이스피싱 문제-
-
역시 한번 더 해보는게 맞는건가...
-
쿨쿨자는거 말고 3
핫핫일어나셈
-
오늘도 성공
-
인생은 2
힙합
-
자바칩 프라푸치노를 아메리카노보다 싼 가격으로 먹을 수 있음 전적대 자퇴했는데도...
-
그 상태로 꿈꿨음 막 귀에서 계속 인강 소리가 들리니까 어떻게든 소리를 안나게...
-
진짜 개씨발 하아………
-
안철수를 과거 조롱했던 것도 있긴 하지만, 회의적으로 바라보게 된 계기가 작년...
-
아침 7시
-
?왜눈옴 2
뭐지 눈 안온다매 기상청아
-
별 기대는 안됨
-
언제 초기화됨?
-
예비번호 봐야합니다..
-
[속보]헌재, ‘마은혁 불임명’ 권한쟁의심판 선고 연기···10일 변론 재개 2
헌법재판소가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
-
물리 왜 함 2
ㅋㅋ 취향 참
-
으으으 2
ㅋㅋ
-
1.
저런건 기출만 풀면서 연습해도 안틀려요
개체수를 보고 거꾸로 얼마나 감소했는지를 약간 추론(?)해야되는 문제는 기존에도 많이 있었나요?
백호쌤이 이게 정답률68%인데 이번수능에서 특징적인 문제고 그부분에서 많이들 틀렸대서요ㅠ
안틀려요. 저건 진짜 배경지식이 없어도 읽고 풀어 맞추는게 가능함, 시간 들이더라도 실수만 안하면 됨. 작수 47점인데 저도 저 문제보고 당황해서 시간 좀 썼는데 맞히긴 했어요.
문제가 신유형이긴 할텐데 개념만 정확하게 적용하면 안어려워요. 근데 단순 개념을 묻는게 아닌 적용 문제라서 아마 그냥 한번 기출로 공부만 해두시면 더 안틀릴듯요
실전에서는 빨리 풀려다가 실수하기는 좋은 문제긴 한데 난이도 자체가 어렵게 느껴졌다면 부족한거 같긴 합니다
문풀량의 극대화로 섬세해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