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분 법학] 헌법학 맛보기-켈젠, 옐리네크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69454191
<얻어갈 개념어들>
국민의 구성권력(pouvoir constituant), 상징적 헌법주의(Symbolic Constitutionalism), 삼요소설(Three-Element Theory of the State)
헌법의 최고성(Supremacy of Constitution), 개헌의 절차적 장벽(Procedural Barriers to Constitutional Amendment), 외국법의 참고와 논란(Citing Foreign Law and Controversy)
헌법적 설계의 시민 미덕 촉진(Civic Virtue Promotion in Constitutional Design), 비례성 원칙(Proportionality Principle), 생명윤리 거버넌스(Bioethical Governance)
집중형 사법 심사(Concentrated Judicial Review), 변증법적 비교법(Dialectical Comparative Law), 수직적 권력 분립(Vertical Separation of Powers)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오늘은 헌법학, 헌법이론을 바탕으로 지문을 제작해보았습니다.
이제 서론 읽을 시간도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제헌권력, 권력분립, 국가의 삼요소설 등 다양한 헌법학적 개념을 분석한 아래 지문을 읽어보세요.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출처: Tschentscher, A. (2017, June 28). Constitutional Law.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Politics.
참조 및 재구성.
(연습문제 1)
|
(연습문제 2)
헌법은 모든 법적 규범 중에서 최고 우위를 지니며, 이는 법체계 내의 규범들 사이에 위계질서를 형성한다. 이러한 헌법의 우월성은 국가 권력이 그 규범에 복종함으로써만 헌법이 본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헌법의 최고성을 보장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은 헌법재판소를 설립하는 것으로, 이는 입법부나 행정부가 제정한 법률이나 명령을 심사하여 위헌적인 법률을 무효화할 수 있는 사법심사 권한을 가진다. 헌법은 또한 개정 절차를 통해 그 자체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조화롭게 유지한다. 개헌은 일반적으로 헌법에 명시된 특정 절차에 따라 진행되며, 예컨대 의회의 3분의 2 이상의 찬성 등과 같은 특별 다수결을 요구한다. 일부 국가에서는 모든 헌법 개정을 국민투표에 부치는 등 개헌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절차적 장벽과 특별 다수결 요건은 실제 개헌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지만, 헌법의 안정성과 변화의 필요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헌법의 안정성은 정치적·사회적 소수자를 보호하고 국가의 헌법적 약속을 일상의 정치적 갈등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필요하다. 반면에 유연성은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고 헌법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며, 최근에는 헌법재판소의 해석 권한을 견제하는 데도 중요하다. 특히 미국 헌법의 경우, 가장 엄격한 개헌 절차로 인해 개헌 빈도가 매우 낮지만, 이는 오히려 헌법의 지속성과 국가의 기초 문서로서의 영감을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 한편, 헌법재판소가 다른 국가의 헌법을 해석의 참조점으로 사용하는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 된다. 미국 대법원은 외국의 법률을 참고하여 기존의 입장을 강화하거나 유럽의 가치를 참조하여 사회적 쟁점을 해결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관행은 일부에서 지지를 받는 반면 다른 부분에서는 비판을 받는다. 대부분의 경우, 외국법의 참조는 입법적 사실로서의 관찰에 그치며, 규범적 기준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반면에 유럽에서는 외국의 헌법을 비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제한하는 것은 어색하게 여겨진다. 조직적 헌법은 또한 입법, 행정, 사법 등 국가 권력의 분립을 규정하고, 각 권력의 선출 절차, 자격 요건, 임기 및 권한 등을 결정한다. 권력분립은 원칙적으로 독립적이지만 상호 견제와 균형의 시스템 안에 포함되어 있다. 국가 조직은 정부 형성 시 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에 따라 정의되며,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로 구분된다. 의원내각제에서는 국민이 직접 선출한 의회만이 존재하며, 의회는 다수당이나 연합하여 정부를 구성하고 수상을 선출하며, 불신임 투표를 통해 정부를 교체할 수 있다. 반면에 대통령제에서는 대통령이 국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며, 대통령은 의회의 다수 지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연립정부의 유인이 적다. 이러한 헌법적 구조와 절차들은 국가의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구현하고, 국제 협력을 포함한 국가의 기본 원칙을 설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
(연습문제 4)
헌법은 일반적으로 헌법재판소에 의해 수호되는데, 헌법재판소는 법질서 내에서 헌법의 규범적 우월성을 지키는 임무를 맡은 독립적인 국가 기관이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한 핵심 도구는 헌법에 위반되는 법률이나 법규를 적용하지 않거나 무효화할 수 있는 사법 심사(judicial review)의 권한이다. 사법 심사는 각국에서 다양한 모델로 구현되는데, 미국에서는 모든 연방 및 주 법원이 사법 심사 권한을 갖는 분산형 사법 심사(diffuse judicial review)가 존재한다. 반면 유럽에서는 한스 켈젠(Hans Kelsen)이 고안한 집중형 사법 심사(concentrated judicial review) 모델이 적용되며, 여기서는 헌법재판소만이 사법 심사 권한을 독점한다. 켈젠의 모델에서는 다른 모든 법원이 법률의 헌법적 타당성에 대한 판단을 헌법재판소에 이양하며, 헌법재판소는 헌법 해석과 적용에 대한 독점적인 권위를 가진다. 이로써 헌법재판소는 구체적인 사건뿐만 아니라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 일반적인 검토를 수행할 수 있는 추상적 심사(abstract review)의 권한도 가진다. 이러한 정치적으로 중요한 사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헌법재판소는 집행부와 입법부, 그리고 다른 사법부의 법원들과도 공식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그 자체로 사법적이면서도 정치적인 성격을 지닌 독자적인 헌법적 지위를 차지한다. 헌법재판소의 재판관들은 일반 법원의 판사 임명보다 더 정치적인 환경에서 선출되며, 현재 켈젠 모델은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 전 세계 다수의 국가에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권한은 특히 독일에서 입법에 대한 사법 심사의 적용으로 인해 헌법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한편 비교헌법학은 오랜 역사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중반 이후 헌법 체계 간 비교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전통적으로 왕정 대 공화정, 양원제 대 단원제, 비례대표제 대 다수대표제, 대통령제 대 의원내각제, 연방제 대 단일제와 같은 이분법적 구분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헌법 체계는 이러한 이분법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연방제는 일반적으로 양원제와 연계되지만 탄자니아와 같이 예외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비교헌법학은 아직 특정한 방법론적 정전을 개발하지 못하였으며, 기능주의(functionalism)가 여전히 대규모 비교의 지배적인 절차로 남아 있다. 기능주의는 헌법이 수행해야 할 과제를 식별하고 그 과제에 대한 질문 목록에 따라 국가별 보고서를 작성하지만, 실제 논쟁을 위한 여지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더 역동적인 변증법적 비교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단일 헌법의 부분적 관점에서 시작하여 비판적 질문의 반복 과정을 통해 다양한 관점을 재배열하고자 한다. 또한 비교헌법학의 연구를 사회정치적 조건과 도전 과제로 확장함으로써 정치적 전환을 요구하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연방국가에서는 헌법이 연방과 그 구성 주체 사이의 권력 분립, 즉 수직적 권력 분립(vertical separation of powers)을 다루어야 하며, 실제로 연방주의는 헌법에서 가장 다양한 특징 중 하나이다. 국제공법에서는 조약 모델을 따라왔으나 이제는 충분히 통합되어 '헌법화된'(constitutionalized)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국가의 헌법에 비해 국제법에서의 헌법주의는 국제인권 보호, 규범적 위계 등의 측면에 제한되어 있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대식 2
420점대면 어디가나요
-
연고대 이상 수리논술 기준으로 수능 등급으로 치면 어느정도 난이도임..?
-
비평 일반고라서 내신따기가 많이 빡센편이고 3등급이면 고대, 2등급 중부턴 서울대...
-
공통 1~15가 너무 물이고 주관식이 빡세서 걸릴문제 같이 걸고 넘어지고 하면서...
-
감 끌어올리려고 허무하다
-
3합7 충족률 1
3합7 많이 맞췄을까요? 현역 서울대 이과기준으로..
-
전 수능때 현역재수 국어의벽을 느끼고 서렌친사람입니다.. 재수끝나고 전적대다니면서...
-
건대나 시립대 과는 상관없고 경북대 경제 희망합니다 ㅜ
-
지금와서 따지는건 의미없지만 2번찍었는데 왜 5번이지
-
평소에 51점 이렇게 받았는데 내가 1일실모 풀 때마다 확통 셤지 빼서 계속 줬는데...
-
겨울에 한 번 서울 올라가는데 너무 많아...
-
어제 김백현t 고대수업에서 옹호나 비판하라는 문제 나오면 왠만하면 옹호로 쓰라고...
-
과는 국문과, 철학과 정도 수준이면 이정도 성적대로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요 ㅠㅠㅠㅠ
-
말이안되네
-
던 적이 있었죠...그립읍니다
-
어차피 난 재순데 92나와서 꿀잼 구경하고 싶음 ㅋㅋㅋㅋ 어차피 나도 시발 22...
-
상경씹창나고 인문은 70~80이네
-
일단 쏜다
-
내년에도 같이 달리자네요 흠
-
아 너무힘들다 3
씨파생인데 쥬글것같아요
-
수리논술 답 1
수리논술 답안지에 풀이랑 답 쓰고 문제지에도 답 적어야해요? 아니죠??????
-
지금 텔그 1
믿을만 한가요? 가나군 5-60뜨면 절대안됨? 아니면 어떻게될지 모르는거?
-
용산역에서 숭실대까지 택시타면 30분안에 도착할수잇을까요..?
-
.
-
4 6 2 4 3 농어촌이구 문과 여자입니다 삼육대랑 덕성여대 가능할까요..
-
모의고사보다 등급컷 2문제 정도는 올라간 느낌
-
확통 난이도가 통합이후 시험지 모평 다 포함 제일 쉬웠는데 30번 검토빼면 15분도 안걸린듯
-
하 생명 19번 0
분명 ㄷ 틀리게 나왔는데 ㄱㄷ로 했다는게 너무 충격에다가 뜬금없이 감수분열 문제도...
-
연대 때문인가 작년엔 안걷었는데
-
자도 자도 졸려 0
뭐가 문젤까
-
92 얘기 나오는 거 보면 근데 아무리 쉬워도 92는 잘 안가니까
-
달리고 산화해버릴까 하는 충동
-
2번에 첫문단 표 요약 네줄 정도면 되나요? 두번쨔 표에 모든 지수 하나하나 전부...
-
붙으면 어디감 1
ㅈㄱㄴ
-
ㅋㅋㅋㅋㅋ....... 죽을까
-
추억이네
-
나같은성적 나밖에 없지 않을까?
-
제발진짜제발
-
진학사 구매계획 0
투표
-
대충 연대 낮과 가능함..?
-
국어랑 영어를 너무 못해서 해볼려 하는데 어떻게 진행되나요? 특히 국어를 진짜...
-
친구가 올해 입시를 봐서요 올해부터 A,B유형 고르는거고 다군은 탐1이더라구요?...
-
올해 최저충족률 1
3합4 평균(절사아님!) 과탐필수 최저충족률 이거 몇프로정도될까 영어 그렇게 쉬웠나...
-
육군 운전병 간다는 전제하에.
-
이대(이화여대)는 여대라서 ㅋㅋㅋㅋㅋㅋㅋ
-
문과 서울대식 404~405면 어떤 과 갈 수 있나요?? 사회과학대학 중에 있을까요?? ㅜㅜ
-
귀찮아서 안 보고 들어갔는데 궁금하네
-
수시공부할때 언매 빡세게 해서 유지만 하면 만점뜬다 이거 아니면 메리트가 걍 없는데...
-
궁금하네
-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절차 사항을 제외한 모든 사항은 상임 이사국의 동의 투표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