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 꿀팁) 수 가지고 놀기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68383108
실험 대상은 24학년도 6월 평가원 20번 문제입니다.
(1) 총인구
- 총이나 전체를 구할 때, 1.5배, 0.25배와 같이 소수점이 있는 경우에는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150이나 25와 같은 숫자보다는 300 400과 같이 백 단위로 끊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렇게 해야 뒤에 있을 계산이 편해집니다.
- 첫 줄을 보고 t년의 총인구를 100이 아니라 200으로 둬야 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그럼 t+50년은 400명, t+100년은 300명이죠.
(2) 총인구 중 부양 인구
- 총인구를 모두 구할 수 있다면 이때부터는 비율보다 수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t년 80명, t+50년 160명, t+100년 90명이죠.
(3) 노년 부양비, 노령화 지수 (수 쪼개기, 예측하기)
- 75라는 숫자를 볼 때 자동으로 3과 4가 떠오르면 계산이 빨라집니다. 3:4=x:160일 때, x는 120이 돼죠. 따라서 t+50년 노년 인구는 120명, 유소년 인구는 120명입니다.
- 25라는 숫자를 볼 때 자동으로 1과 4가 떠오르면 계산이 빨라집니다. 1:4=x:80일 때, x는 20이 돼죠. t년 노년 인구는 20명, 유소년 인구는 100명입니다.
- t+100년 노령화 지수는 250이죠. 2.5라는 수를 보자마자 2와 5가 생각나며 둘의 합이 7이라는 것이 떠오르면 계산이 빨라집니다. 유소년 인구와 노년 인구의 합은 210명이기 때문에 유소년 인구는 30(= 210/7)x2명으로 60명, 노년 인구는 30(= 210/7)x5명으로 150명입니다.
* 총이나 전체와 같이 첫 덩어리를 나눌 때는 백 단위로 끊기. 표 문제에 나오는 많은 수들을 접하면서 어떻게 짜르면 가장 계산이 빠르고 편해질까 거듭 고민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표 문제를 빠르게 푸는 방법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 총부양비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총부양비가 150이라면 부양 인구 비율은 40%이 되겠죠. 많이 풀다 보면 어떻게 쪼갤지 의식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된다고 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명은 너무 못생겨서 차단했고 두명은 맞팔하고 친구로 게속 지내고있음
-
나 여르비인데 4
여르비임
-
N축은 계형이 확정되야 쓸수있는데 함수찣기는 계형이 확정되지 않아도 쓸수있는거 보니...
-
거짓말치지마라
-
깜짝 놀라 들어온 옵붕이들이면 7ㅐ추 ㅋㅋ
-
이성끼리는 여러모로 문제가 될 수 있으니 그닥 추천 안 드림 단 7ㅔ이 의심자랑은 만나지 말고
-
아오
-
은근히 무해한 것>> 10
그건 바로 십덕 이새끼들은 그냥 현실에 관심이 없음
-
제 이상형 이시면 납치 감금 해드립니다
-
1. 서울 1964년 겨울 작년 수특에 나왔었는데 아내의 시체를 파는 거나 안 씨가...
-
230829 팬싸
-
그래서 옯만추 0
언제해ㅐㅐ 우우
-
인싸 ㄱㄴ?
-
언확생사 현역 3 4 1 3 4 재수 2 3 2 3 3 기숙에서 재수했어요. 다시...
-
단,순대렐라는 제외 순대렐라는 여러분들을 해치지 않습니다 ㅎㅎ
-
도 깜짝 놀랄만한 1주일만에 수2 정복가능한 문제집 추천좀 추천 안하면 니네 팀이 안토니 영입
-
18년도 이전기출을 보면 감상의 대상이 맞는데 20년도 이후기출을 보면 문학적...
-
정리좀 1
뭔일임 대체
-
금은테들 이미 몰래 한번씩 했을 듯
-
하이마렵
-
에휴다노
-
조언 플리즈.. 2
치대는 이미 합격이고 의대는 추합기다리고 있는데 의평원 결과 안 나온 상태면 치대...
-
장재원t 테스트는 다맞는데 강기원t테스트는 8점만점에 계속 6뜨면 시즌2때 강기원쌤...
-
둘다 서면점 다닐 것 같은데 어디가 나을까요? 잇올은 걍 제일 유명하고 이투스는...
-
ㅈㄱㄴ
-
아니 야스라는게 실존할리가 없잖아ㅋㅋㅋ
-
괴롭다 5
이유도 모르고 하루종일 눈물 줄줄 콧물 질질 비염인의 삶이란
-
시립대 공간정보 농어촌으로 쓰신 분 중에 최초합하신 분 계실까요..? 최초합 했다면...
-
서울대 의대를 100000명 뽑는거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토끼상이이상형 1
-
1. 1학년 내신 대비 칼럼(전과목) - (대상 예비고1) 2. 수학 상, 하 내신...
-
배움에는끝이없구나
-
ㅇㅂㄱ 4
-
애들이 날 그 안에서 괴롭히더니 내가 힝 이러니까 그걸 캡처해서 톡방 프사로 쓰더라 ㅜㅜ
-
학원으로만 다녔어서 영어 인강 들은 적 한번도 없고 컨텐츠 뭐있는지 잘 모르는...
-
시발.
-
올1등급 이론상 쉽다
-
선착순5명천덕 9
.
-
써니같은여친기원 4
-
머야머야 0
나 없는동안에 몬일이 난거야 설명해줄 착한 형아들 구함
-
슬슬 차단해야겠네 10
.
-
메인글(삭제됨) 정리 11
정리는 개뿔 인생을 알려주겠다. 1.오르비 디씨(미주갤은 ㄱㅊ) 트위터를 자주...
-
빼꼼 5
갈색 냄새
-
제곧내 ㅠ
-
글삭엔딩 ㄷㄷ 0
흠
-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제51대 학생회 비상대책위원회입니다. 한양대학교...
-
님들의 생각은? 2030까지 합계출산율 1명 가능할까?
안녕하세요! 혹시 이렇게 ~와 구분되는 ~ 라는 형식의 문제 접근법 꿀팁이 있을까요..?! 일일이 경우의 수를 넣어서 정공으로 파훼하는 방법이 정답일까요..? 사진은 올해 수완입니다. 사진과 같은 문제 유형 말고도 점수 배점 문제, 개수 세기 문제 등을 접할때 정형화된 방법이 아니라 즉석에서 대처하면서 푸는서 같아 고민입니다 ㅠ
해당 문제 풀어봤습니다.
채점 및 카드 유형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추천 방법 두 개 적고 풀이 메커니즘 적어 드리겠습니다.
1) 적혀 있는 내용이 어디에 해당하고, 어디에 해당하지 않는지 빠르게 판단하여 적어두기
2) ~라면에 해당하는 선지의 경우에, 선지를 하나하나 풀면서 규칙을 파악해 나가기
이 문제에서 주요한 규칙은 한 명(ㄱ)을 제외한 나머지 두 명은 적절한 내용을 골랐다는 겁니다. (차별 교제 이론 - 차, 낙인 이론 - 낙, 머튼의 아노미 이론 - 머)
ㄱ 선지를 보면, 적절한 내용을 고른 사람은 을과 병입니다. 을이 뽑은 카드는 차, 낙에 해당하므로 'B와 구분되는'에서 B가 머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갑이 뽑은 카드는 머, 차에 해당하므로 A는 낙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A는 차, C는 낙입니다.
ㄱ 선지의 정오를 판단했다면, 아래 선지의 메커니즘은 똑같습니다.
ㄹ 선지를 보면, 적절한 내용을 고른 사람은 갑과 을입니다. 갑이 뽑은 카드는 머, 차에 해당하므로 A가 낙이라는 점을 알 수 있고, 을이 뽑은 카드는 차, 낙에 해당하므로 B가 머라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C는 차가 되고, (가)에는 차와 구분되는 다른 일탈 이론의 특징이 들어가면 안 됩니다. 따라서 낙에만 해당하는 진술은 (가)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이 정도의 속도로 선지 하나하나를 풀이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래에 보내드리는 사진보다 더 많은 내용을 시험지에 적어가면서 풀면 시간이 꽤 오래 걸릴 겁니다. 사진의 내용 정도를 채워가면서 풀되, 과정은 눈풀로 처리하는 것이 가장 빠를 겁니다.
한 문장으로 요약하면 '선지 풀면서 규칙 파악하기' 정도입니다!
와... 자세한 사고 구술과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ㅜㅜ 여러번 곱씹으면서 유형에 익숙해져야겠네요...!! 감사합니다 ㅜㅜ!!
네네 응원합니다
오 이런분이 계셨군
하이용
사문선택자로서 잘볼게용
1등급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