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n fashion [574758] · MS 2015 · 쪽지

2015-10-16 00:58:51
조회수 499

이상주의/구성주의 질문이요 ! 쫌 많아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6656984

국제관계 파트에서 질문이 있어여ㅠㅠ 질문이 좀 어수선할 수 있는데...

Q.1

무정부상태가 국가위에 상의 중앙집권이 없는 상태이자냐요

현실주의는 국제 사회를 본질적으로 무정부적 상태로 본다. 맞는말이잖아요

 국제사회는 '무정부상태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이해하고 있다 '이상주의는 X인데요

이상주의 입장은 국제관계는 협력이 가능하니까 국제기구 국제법 국제규범으로 벗어날수 있대여

그럼, 이상주의는 무정부상태가 될수는 있으니까 벗어나던 하는거잖아요..

이상주의는 무정부상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야하나요..??

------------------------------------------------------------------------------------

 Q.2 교학사 교과서에서

'무정부적 상태는 홉스적, 로크적, 칸트적 문화인 세유형으로 구분된다~~~~~

현재 국제 정치는 로크적 무정부상태이다.' 라고 구성주의 제시문으로 나와있던데

EZO쌤이 설명하시기를 홉스는 성악설, 로크는 성무성악설, 칸트는 성선설

홉스는 현실주의로 로크는 구성주의로 칸트는 이상주의로 연결된다는 뉘앙스로 설명을 잠깐 해주셨는뎅  인식에따라 로크/홉스/칸트적 무정부상태로 변화하는거잖아요

제시문에서 현재는 로크적 무정부상태다 라고 한건 뭐에요??ㅜㅜㅜ

-----------------------------------------------------------------------------------

Q.3

구성주의: 무정부상태는 외생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니라(변하지 않고 고정된 것이 아니라) 국가들이 만들어 내는 것(상호작용에 의해)

국가들의 인식이나 국가 간 상호작용에 따라 국제적인 무정부 상태 성격도 달라진다.

국가들의 신뢰체계에 따라!!

1. 홉스적 무정부 상태(적대적: 상대방을 적의 이미지로 봄: 현실주의적인 세계관)

2. 로크적 무정부상태(경쟁적: 상대방을 경쟁자로 봄, 자기억제는 한다.)

3, 칸트적 무정부상태(우호적: 상대방을 친구로 봄: 초국가적인 유대, 인류의 공동체 등을 강조했었다. 집단안보에 의해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우호적인 세계로 인식)

[출처] 3. 구성주의|작성자 이송현

근데 위와 같다는 것은 구성중의도 본질적으로는 무정부상태로 본다는 건가요??

---------------------------------------------------------------------------------

Q.4

이상주의는 국제사회가 본질적으로 무정부상태는 아닌데

무정부상태가 될수는 있음을 인정함.

된다하더라도 칸트식 무정부상태이고 이는 협력을 통해서 벗어날 수 있음.


현실주의는 국제사회가 본질적으로 홉스식 무정부상태이고

이기적인 국가끼리 협력은 불가하므로 힘과 폭력으로 해결해야하지만

평화는 만들어지겠지만 무정부상태를 벗어날수는 없는거고


구성주의는 국제사회가 인식에따라 로크식/홉스식/칸트식 무정부상태인데

현재 국제정치는 로크적 무정부상태이고

어찌됬던간에 이런 무정부상태는 우호적인 상호규정/작용을통해서 무정부상태를 벗어날수 있다.


이렇게 이해하면 갠찮낭용??

-------------------------------------------------------------------------------

Q.5 구성주의의 국제관계의 행위자는 메가스터디 안상종쌤은 개별국가라고 했는데

인터넷 국제정치학전공하신 분들 블로그 보면 국가+비국가행위자 라고 되있던데

그러면 행위자: ONLY 국가만! 이라고 본다 하면 현실주의만 되는거라고 보면 되나요???

구성주의는 국가만! 은 아닌거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