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대 위치가 많이 바뀔 것 같습니다 3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66324120
수의시장 매출이 기존보다 3배가량 높은 걸로 최근에 밝혀졌으나, 일부 자료를 보면 여전히 영업이익은 낮게 나오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겁니다.
의원 3곳은 대략 30% 전후의 영업이익이 나오는데 수의업은 15% 전후의 영업이익이 나오고 있죠 이전 글에서 언급한 메디컬 한 곳은 혼자 전체 매출의 3/4을 차지하는 ‘매출원가’가 잡히면서 마진이 낮을 수 있는데
수의업이 의원 3곳에 비해 2배나 낮게 나오는 데에는 뚜렷한 이유를 찾을 수 없는 상황입니다.
조금 더 깊게 들어가 마진을 줄이는 ‘경비’는 주요경비와 기타경비로 나눠지는데 수의업의 전체 매출에서 주요경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산해보면 의원 3곳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옵니다.
수의업은 기타경비가 많이 책정되면서 마진이 15% 밖에 안나오는 것으로 통계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이미 큰 비용은 주요 경비에서 항목별로 다 걸러지고 있는데 기타경비가 월등히 많아 마진을 다 깎아버리는 게 상식적으로도 맞지 않죠
또한 기타경비는 항목별 분류도 없어 확인도 불가능합니다.
영업이익이 나오는 통계에서 수의업은 가축병원이나 혼합병원이 같이 잡혀 있어서 정확하게 가늠하기가 다른 메디컬에 비해 힘듭니다. 이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 책정에서 양쪽 모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 이외의 요인도 오래 전에 다룬 적이 있습니다.
15%의 영업이익은 로컬에서도 괴리가 너무 크며, 국세청에서 고시한 경비율에서도 동물병원과 의원 3곳의 마진은 거의 같습니다.
적어도 가축병원은 걸러낸 이 통계에서 15%의 마진을 적용하여 영업이익을 계산하여도
동물병원의 영업이익은 메디컬 내에서 의치대에 이어 3번째로 나옵니다.
국세청에서 고시한 경비율을 적용하거나 로컬처럼 의원 3곳과 영업이익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 판단한다면 이보다도 훨씬 높게 나오겠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함요?
-
제가할껀아니고(전 원유저라,,ㅎ) 투과목도 수학 일타는 현우진인것처럼 일타강사...
-
11명 뽑 예비 7인데 될까요 와 이렇게 밀릴 줄은 생각도 못 했는데;; 작년엔...
-
강남에서 인바디 검사해주고 다이어트한약 팔래요 ㅎㅎ
-
저희 아빠도 있고 저도 있음..
-
진짜 울고싶다 2
내 삶은 어디서부터 꼬인거지
-
등록금을 냈다 거지가 되었다 다시 500만원을 모았다 등록금을 냈다 거지가 되었다...
-
연회비 2만원에 13만원 쓰면 13만원 캐시백해주는 신용카드 햇는데 진짜 줘서...
-
사문 조언 1
작수 (화미영생윤생명) 54255 받았는데 생명 런치는게 맞겠죠 이번년도 사문...
-
콜린성 미치겟네 11
이젠 가만히 있어도 두드러기 급발진함
-
뭐 하고 싶으신가요
-
피자 먹다가 이상한게 씹혀서 뭔지 보니까 카드가 있네
-
경제나벅벅할까 책사야하는데흠 검더텅사고 시대자료도 좀 사고
-
피곤하다... 20
학원 학생들이 도저히 말을 안듣는다.
-
대성은 기숙아니고 just 재수종합임 집에서 통학(도로위에서 1시간반씩...
-
충남수 ㅇㅈ 14
현역 국숭세단 => 재수 수의대 대학생 됩니다!
-
특히 9
이과 n수생 투과목 이 셋은 특급저능아라는거임
-
고려대 소속변경 7
혹시 고려대 소속변경 하려면 학점이랑 토익 어느정도여야 되는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
백화점 갔다왔다는 뜻
-
귀찮아서 안받았는데.. 어짜피 달아도 저능아 취급받을텐데..
-
^~^////~~~~~~
-
이거를 ㄹㅇ 본인 학벌 인증으로 쓰는 사람이 존재함?
-
합격 ㅇㅈ 메일 묻혔나봐뇨.. 다시 보내기로 했음뇨
-
안 쓰는 게 맞더라
-
저능아라는거임
-
제2외국어 영역에 C언어, JAVA언어 등등 도입의 필요성을 논의해야할 시점이 왔다고 생각함
-
아니 조발좀 해라 지잡인주제에 늦게발표하면서 조발도안해 크악 그러면서 다군에 하나도 안넣음 크악
-
그냥 하고싶은 말 하면서 사는데 맞는진모르겟다
-
능능아 취급까지... 슬프다...
-
나쁜말 마구하기 4
입이 근질근질하군
-
장수생 현상 0
이 시기에 수특 문학을 안 사니까 뭔가 허전함
-
인스타 보니까 예비대학 신청ㅂ받던데 가시는 분이나 어떤거 하는건지 아시는 분...
-
사문 임정환 윤성훈 13
ㅈㄴ고민됨 아직도 고민 중임 몇 주 째 고민 중임 커뮤에선 윤성훈 많이 듣고 주변...
-
내가 드디어 대학생이라니~
-
설대 인문 정시 11
서울대 인문 정시로 갈라면 평백으로 어느정도 받아야돼요? 깡표점 쓰는 건 알지만...
-
111명 뽑는 학과면 예비번호111까지는 빠진다는 말인가요?
-
진학사 추합예측 2
잘 맞는편인가요 올해 20등까지 추합될거라는데 18등이라 개쫄림
-
스텝0이 존나많고 ㅈㄴ 내신틱함 그리고 틀려도왜틀렷는지 걍짜증남
-
나중에 돈많이벌면 성적이나 대학인증해서, 높으면 자리 오랜시간 싸게 이용할수있게...
-
미안하다이거보여주려고이때까지어그로끌었다 너무 예쁘지 않냐 ㅠㅠ
-
영어랑 국어는 잘 몰겟던데 그냥 전과목 다 살까요
-
10분만에 과외제안서 20개옴..
-
작가연계 드가자
-
원의 방정식하는데 정신 나가는중임 이거 진짜 해야하는거 맞냐?? 9개월 뒤 수능인데??
-
나 외붙건떨임 0
이왜진
-
어제오늘 국립대 발표 많이나오는듯
-
가군 예비도 못받음 나군 한바퀴 돌아야가능 다군 100번대 결과는 예상했지만 마음이...
-
가천은 사실 15일날 붙었어요 치대는 사실 관심없어서 약대중에 고민 중입니다
개성에 수의대가 있을 수도 있었다라는 얘기군요...
근데 훌리 이런걸 떠나서 15퍼는 좀 말이 안되긴하네요
수훌쩍
"많이" 바뀐다는건 의치=수한약?
수훌 행세를 4년전부터 하셨던데 그때에 비하면 수의대 입결이 많이 오르긴 했네요. 다만 수입이 아무리 올라도 사회적 인식 때문에 한의대 입결을 딸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수의사 수입이 한의사와 비슷해진다고 해도 대부분 한의대 갈거고 한의사를 꽤 유의미하게 앞질러야 수의대가 한의대보다 높아질거 같습니다. 우리 부모 세대만 해도 수의대=농대임
근데 이건 저의 갠적인 의견인데,, 사실 입결이 뭔 의미가 있을까싶어요
설령 수의사가 더 잘버는데 입결 낮다는 가정을 해도, 그게 기분나쁠이유가 하등에 없는거같음
이분은 입시에서의 수의대 위치가 바뀔거라길래 그건 쉽지 않을거 같다는 의견이었습니다.
이분 유명한 수훌 그냥 사실관계없이 거르셈
수의대 및 수의사 위치 바꿉시다!
정부는 돈잘버는 수의사를 당장 의료인으로 격상하고 보복부 소속으로 전환시켜라!
동물 “병원”
약국 폼 미쳤네
좌표 찍거나 몰아가거나 아실 분들은 아실테니까요 글만 세번째인데 빈틈이 없는지 지적하시는 분도 없군요
뭔가 맘에 들진 않지만 논리적으로 반박할 점 찾기도 어려운건 팩트...
약국이 치과보다 더 버는게 맞나 싶네
의원급은 영업이익률 30프로대고 약국은 5~10프로 대라 영업이익 따지면 의치한약 순입니다
동물병원은 강남에 수의사 수십명 근무하는 대형병원이나 동네 작은 동물병원까지 모두 각각 동물병원 1개소로 집계됩니다. 당연히 1개소당 매출이나 영업이익이 뻥튀기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반면 의료기관은 동네 의원은 동네 의원끼리 평균으로 집계되고, 의사 수십명이 근무하는 종합병원 등 병원급은 다르게 집계되죠. 흔한 평균의 함정입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자면 서울대에서 가장 연봉 높은 학과가 이재용이 나온 동양사학과라는 말이 있듯이요.
저기 나온 치과병원/치과의원 통틀어서 치과 1개로 퉁쳐서 1개소당 매출 계산하면 안과고 성형외과고 피부과고 다 제치고 1등하지 않을까요? 아무리 통계가 해석하기 나름이라지만 1개소당 수의사가 보험과 개업의사보단 잘벌고 거의 비보험과 개업의와 비슷하다는건 정말 이해하기 힘드네요 ㅋㅋ
의원이라고 규모가 작지 않습니다. 통계에서 의원과 동물병원의 1의원당 평균 종사자수를 비교해보면 동물병원이 평균이나 중위값 전부 제일 적은 것으로 나옵니다. 즉, 동일 규모에서 보정 시 제일 손해 보는 건 동물병원이 되겠죠 병원까지 넣어버리면 동일 규모끼리 공정한 비교와는 거리가 너무 멀어지겠네요
대형병원이 포함되고 안되고는 그 자체로 엄청난 차이입니다. 매출 수백억 수십억 단위의 병원 몇개만 통계에 들어가도 미치는 영향이 큰데 동물병원이 그 영향에서 가장 작다니요 ㅋㅋ 의원은 병상수가 일정 수 넘으면 의원급으로 애초에 분류가 될 수 없기 때문에 통계상 동물병원이 역 보정되어야된다는건 이해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저 자료의 신빙성조차 의심이 드네요. 피부비뇨기과가 분리된지 언제인데 아직도 두 과를 통합해서 통계내고, 정형재활마통 등 매출 상당한 통증과들이 기타의원으로 잡히고...
종사자수 100명 근방도 의원으로 잡히네요
동물병원과 의원을 비교해도 평균/중위 종사자수는 동물병원이 제일 적습니다. 이런데도 병원을 넣어버리면 올바른 비교라고 보기 힘들 것 같네요
이 자료의 맹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은 통계를 따로 잡아 표시하였지만 1,2차 동물병원은 모두 의원, 치의원, 한의원 통계에 포함시켰습니다. 동물병원급vs일반의원급 이런 비교입니다. 그러니 동물병원 매출이 뻥튀기 될수밖에 없습니다.
2.이 통계는 단순 매출만 비교하였습니다. 마진률이 실 수익과 연결ㄹ됩니다.
의원급 마진률은 31%
약국 마진률이 10%
동물병원 마진률 10%입니다.
통계의 맹점을 교묘하게 공개한 훌리글입니다.
국세청 자료에도 100-65.1=34.9%, 마진율 35%로 나오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수의가ㅜ많이 벌어야 의대 공격성이 낮아질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