봇치 더 수능 ! [834542] · MS 2018 · 쪽지

2023-09-27 10:57:37
조회수 2,197

현대 소설 총정리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64544055

I 현대 소설 읽는 법@훈도


1 기본적으로 


(1) 인물의 "내면" 심리 (= 정서, 감정, 태도, 성격, R)


(2) 시간 (t) 의 흐름


에 집중해서 읽습니다.


문제 (P) 상황   -   인물   ->   독자


                                "How ?"


(1) 95 %: 문제 상황 (갈등, 고뇌, 괴로움) 有


    - 대부분의 소설이 인간 (E) vs 세계 (O) 의


      대결, 갈등 상황을 다루는 경우가 많음


(2) 드물게 문제 상황이 없는 작품도 존재함


(3) 인물의 대응 (R, 내면 심리, 성격, 인식, 태도)


변화 CHK ->


"내면" > 시간 (esp. 현대소설) > 공간 (esp. 고전소설)


4 문풀 실전


적절하지 않은 ? -> 세부 사항 CHK


B 적절 ? 


(1) 지문 또는 작품을 읽고


    정답에 대한 즉각적인 확신이 든다면


    -> 먼저 다시 확인 !!


(2)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 "전체, 핵심 내용 (인물 내면 심리 등)"


       재확인 !


(3) 기출에서 자주 적절했던 것 -> 다시 확인 ! 


선지판단 - 선일치 후추론 (F-M)


-> 한번에 하나씩 판단.


    "문장을 정확하게 읽는 힘 !" (미문보) >>>


    https://orbi.kr/00039562062


II 현대 소설 정리


A 수능 현대 소설의 기본 전제


1 소설 읽기 ≠ 소설 지문 읽기


2 소설을 왜 이렇게 잘랐을까 ?


-> 평가원의 "의도, 계획" ??


-> 장면들의 '관계' 를 설명할 수 있으면 훌륭한 분석


    이며, 이 때 이 관계를 반영한 문제와 연결 (붙여


    읽기) 할 수 있다면 더 좋음 !


3 실전에서 위 (I 현대 소설 읽는 법@훈도)


에서 언급한 것처럼


(1) 인물의 "내면" 심리 (= 정서, 감정, 태도, 성격, R)


(2) 시간 (t) 의 흐름


에 집중해서 읽는다. (현대시의 경우 정서에 주목했던


것처럼 현대 소설은 내면 심리, 정서 + 시간의 흐름에


집중하시면 됩니다)


4 실전적 흐름


(1) 제목


(2) <보기> 직독으로 상황 파악


- 단, 지문을 읽기 전에는


 '내용 설명형' <보기> 만 확인


(3) 앞 부분의 줄거리 (-> 감속 독해)


(4) 지문


- 지문을 읽을 때는 '제목 - <보기> - 지문' 의 순서


 로 진행하며 인물의 성격, 내면, 인물이 처한 상황


 파악해야 한다.


(5) 문제 (<보기> (판독) - 선택지 - 지문)


B 장면 끊어 읽기


1 장면으로 구획 정리


- 장면을 나누는 기준 ("시간" > 공간 등):


(1) "시간 (t) 의 변화"


1) 회상: (1인칭 시점, 서술자 인물이) 회상


2) 과거 장면 (장면은 대화로 재현) 의 제시:


    3인칭 (예를 들어서 '07 수능 김유정 '만무방' 의


    경우 3인칭 시점이기 때문에 not 회상 but 과거


    장면의 제시. 3인칭이면 회상 아님 !! )


3) 시간의 역전 (역행)


(2) 공간의 이동


(3) 대상의 전환 등


인물의 "내면" 심리


  (= 정서, 감정, 태도, 성격, R) 에 주목


(1) 대화 (증언, 진술 등)


(2) 목격 (장면, 글)


(3) 회상 등에 의해


선 '인식 변화' 후 '태도 (=성격) 변화'


cf. 선 '인식 변화' 후 '태도 변화'@'2206 >>>


https://orbi.kr/00038264860


3 '09 9평 오상원 '모반' 등의 지문들로 장면을 끊어


  며 읽는 훈련을 하시기 바랍니다. 박광일 강사가 


  대 소설에서 장면 끊어 읽기를 굉장히 강조했었어요.


4 이번 9평 30번 문항에서도 장면 끊어 읽기 및 시간


   (t) CHK 가 중요했었네요.


t1 (매일같이): 슈퍼 앞의 비치파라솔 의자에 앉아 그


                  (= 김 반장) 와 함께 낄낄거리는 재미로


                  하루를 보내다시피 한 시기


t2 (요즘): 선옥이 언니가 서울 이모 집으로 훌쩍 떠나


            버린 후 (이후 김 반장이 퉁명스러워짐)


t3 (그날): 김 반장이 아저씨 (= 몽달 씨) 를 쫓아낸 날


            (이후 '나' 는 김 반장이 나쁜 사람이라고 생


            각하게 됨)


5 '시점' 관련 내용은


문학 개념어 정리 with 훈련도감 ( >>>


https://orbi.kr/00035782601 ) 의 9번 항목을 


고하세요.


III 가장 좋은 final (수능 국어 마무리) 은


   "집중력의 유지" 입니다.


(1) (체화되지 않은) 쓸데없는 생각이나 방법들


    버리기 + 꼭 필요한 것 (ex. 비문학의 경우


    논지 흐름, 문학의 경우 정서나 장면 전개


    등 파악) 하기


(2) 과도한 목표 (ex. 완벽한 이해) 포기 + 문제


    에서 물어보는 것을 답할 수 있을만큼 이해


(3) 너무 어려운 내용은 몰라도 문제 풀 수 있음


(4) 그 동안 열심히, 잘 공부해 왔다면 다들 좋은


   결과가 있을겁니다. 그 동안 해 왔던 노력을


    믿으시고 모두들 좋은 성적 받으실 수 있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


출처: '2021 구주연마의 서, '2021 네가 확실한


       일등급이 아닌 이유, '2021 훈련도감 등


기본적으로 강사 수업 내용 중심이지만, 제가 이해하


기 편하게 일부 내용을 재구성했음을 알려드립니다.



그 밖의 참고 자료들 >>>


01 문장을 정확하게 읽는 힘 (미문보) >>> 


https://orbi.kr/00039562062


02 문학개념어 정리 with 훈련도감 >>>


https://orbi.kr/00035782601


03 문개어 정리 with 훈도 part 2 >>>


https://orbi.kr/00035793993


04 2021 훈련도감 복습용 요약본 >>>


https://orbi.kr/00036560262


(다른 분이 요약해 놓으셨던데 알차게 잘 정리되어 있음)


05 국어 비판, 반론, 반박 행동 영역 >>>


https://orbi.kr/00033438590


06 수필, 인과관계 등 정리 >>>


https://orbi.kr/00064464588


07 현대시 총정리 >>>


https://orbi.kr/00064475963



항상 그래왔듯이 올해도 새로 올리는 글들은 수능 이후


삭제할 예정이니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are-귀여운 Judge rare-아르세우스 rare-이더리움 rare-DESCENTE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