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자연과학을 공부한다는 것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59427121
새벽에 심심해서 써보는 글입니다. (물리학이나 화학을 특별히 비하하려는 목적이 아님을 미리 밝힙니다.)
자연과학과 수학은 언뜻 보면 비슷해보이지만 근본부터 다른 영역이다. 자연과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연의 현상을 논리적으로 '잘' 설명하고 '잘' 예측하는 것이지만, 수학은 수학자들이 직접 정의를 하고 그 정의에서 출발해서 논리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이다. 수학의 절대 전제는 모든 논리와 정리의 시작이 되는 공리들이고, 현대 수학은 ZFC 공리계에 기반을 하고 있으며 수학은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다. 하지만 자연과학의 관점은 조금 다르다. 수학은 자연을 기술하는 도구일 뿐이며, 오차가 매우 작은 경우 이를 무시하는 것이 일상이다. 이를테면 공학도에게 원주율은 3과 사실상 동일하며 sqrt(1 + sin x)는 1 + x/2와 동일하다. 그런 비엄밀한 과정을 거치더라도 자연을 잘 설명하고 예측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자연과학에는 크게 물리학, 화학, 지구과학, 천문, 그리고 생명과학이 있지만 그중 특히 물리와 화학이 자연과학의 특징을 잘 표방하고 있다. 물리학에서는 특히 수식적인 계산이 많이 사용되며, 앞서 언급한 공학 밈 역시 물리학의 수많은 가정에서 나온 것이다.
단진자를 생각해보자. 우리 모두 단진자는 단진동을 한다고 무의식적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서도 그럴까? 단진자가 단진동을 한다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단진자의 진폭이 매우 작다, 공기저항이 없다, 실은 너무 가벼워서 그 질량을 무시해도 된다, 진자는 너무 작아서 점으로 생각해도 된다 등 수많은 가정이 들어가있다.
하지만 수학자의 관점에서 이를 근사 없이 큰 진폭에 대해 해결하려하면 타원적분이 나오게 되고, 결국 아래와 같은 급수식을 얻게 된다.
여기서 세타 제로가 충분히 작으면 대괄호 안의 식이 1로 다가가 흔히 아는 주기 공식이 나온다. 수학자라면 이 식을 보고 뿌듯해하겠지만, 모든 물리학도가 그렇지는 않다.
따라서 물리학에 사용되는 모든 수식과 계산에는 오차가 따르고 이때문에 물리실험에서 모든 측정요소의 확장불확도를 계산해야 하는 것이다. (불확도는 물실이 학생들에게 주는 수많은 고통 중 상위권에 위치해있다)
(양자역학/물리화학 이외의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느낌의) 화학은 반대로 계산량이 극히 적지만 논리가 없다. 항상 성립하는 규칙이나 법칙은 질량 보존 법칙이나 파울리 배타 원리 등을 제외하면 거의 없으며, 모든 규칙에 예외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극성 물질은 물에 잘 녹는다고 하지만 극성이 낮음에도 다른 물질보다 물에 잘 녹는 쌍의 예시가 알려져 있다.
화학은 사실상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억지 학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게, 옥텟 규칙이나 이온성을 설명하는걸 보면 정말 답도 없다. 옥텟 규칙의 이유를 물어보면 "실험적으로 그렇더라" 라고 하고, 전자가 최외각 껍질에 8개가 들어갔을 때 가장 안정된 상태가 되는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옥텟 규칙에 의해서 라고 답한다. 물론 예외도 차고 넘친다. 8개 뿐만 아니라 23개, 28개 등이 들어갔을 때 안정한 경우도 많으며, 이를 다 23전자규칙, 28전자규칙이라고 부르는 것도 아니다.
이온성을 설명하는 것은 더 끔찍하다.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이온의 전하량과 이온 사이 거리만을 이용해서 녹는점을 비교하는 것 같은데, 이는 이온 결정의 격자에너지(Lattice Energy)를 이용한 접근법이다. 하지만 당연히 예외가 차고 넘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게 Fajans' Rule이다. 이온들은 격자에너지를 이용한 녹는점 비교에서 가정하는 것처럼 딱딱한 당구공이 아니기에, 서로 가까워질수록 음이온의 전자구름이 양이온에 의해 찌그러지는 편극 현상이 일어나 강제적으로 공유성이 일부 생기게 되어, 이것이 이온성을 낮추는 것이다. 물론 공유성이 높아진다고 녹는점이 항상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도 아니다! 이 법칙의 목적은 격자에너지로 예측한 것과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을 때 "아무튼 편극에 의한거임" 이라고 설명하고 넘어가는 것이다.
이때문에, 어떤 이온 결합 화합물 두 개를 주고 녹는점을 예측하라는 문제는 다른 조건이 없다면 대학교에서 절대로 출제할 수 없다. 고등학교에서는 격자에너지만을 가르치기에 격자에너지로 예측 가능한 것을 내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이론 자체가 결과를 설명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기 때문에 예측이 거의 불가능하다.
또다른 예시를 들어보자. BCl3, BBr3. BI3는 모두 루이스산이기 때문에 BF3도 강한 루이스산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실험 결과는 매우 약한 산임을 보여준다. 또한 BF3의 루이스 구조를 그리라고 하면 형식전하가 없는 구조를 그리겠지만, 실제 구조는 이중결합이 한 개 있어서 공명적으로 4/3중 결합을 하는 구조다. 그럴듯한 설명을 하자면, F의 크기가 너무 작고 B의 2p오비탈의 에너지 준위와도 비슷해서 B의 2p오비탈이 F의 전자를 받는 것이다. 이때문에 형식전하를 가지는 BF4 - (Tetrafluoroborate)는 매우 안정하다.
화학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규칙을 만들면 너무 복잡해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적당히 간단해보이는 규칙을 만들고 거기에 예외들을 덧붙인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규칙을 무시하지도, 얽매일 필요도 없다.
수학을 공부하면서 생기는 의문은 공리나 정의 자체에 관한 의문을 제외하면 모두 엄밀하게 증명할 수 있다. 하지만 자연과학을 공부할 때는 의문을 가지면 안 된다. 그것이 절대적인 진리인 것도 아니며, 몇 백년 전만 하더라도 태양계 행성들이 지구 주위를 공전한다고 믿었던 것처럼 현재의 이론도 현재까지의 지식과 기술로부터 유도해낸 합리적인 설명일 뿐이다. 가끔 자연과학을 수학처럼 접근하려고 하면서 모든 것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 사람들은 "자연의 섭리" 라는 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물론 수학도 연속체 가설처럼 일부 불완전한 부분도 있지만.. 물리나 화학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대학생 때 했던 뻘짓(?) 중 기억나는 것 중 하나가... 2
KBS에서 했던 퀴즈쇼 1대100에 나갔던 게 생각나네요.아버지가 퀴즈쇼 보면서...
-
올해 설의 전원 투투각
-
흡연자 조사도 12
오르비 건강위원회에서 나왔습니다 투표ㄱㄱ
-
입대 전 24수능 43344에서 입대 후 5개월 정도 공부해서 25수능...
-
이거야..
-
사1과1 1
메리트는 과탐이 거의 만점일 때 이야기죠?
-
???:고등학생이세요? 12
아니요 재수생이요 아 넵
-
유튜브 개빡치네 3
Chill ㅈ노잼인데 계속띄우고 ㅈㄹ함
-
이런
-
취미로 프로게이머를 하며 영상편집을 하고 비트를 찍으며 수능문제를 만들고 mma를...
-
미적반 시즌2에서 공통 나가는거 실전개념도 해주는건가요? 아니면 문풀만 하는건가요?
-
이거 설마 6
수특하고 같이 샀다고 15일까지 기다렸다가 같이 온다는 그런 무서운 뜻인가요? ㅜ
-
진짜 고민되네여..
-
헬린이 일주일차 7
팔에 힘을 안줘도 딱딱해 졌다 팔도 서던가?정력이 좋아진듯
-
자아j 0
?
-
인생 리롤 드가자
-
군대다녀오세요 해결안됩니다 기다리면 기다릴수록 손해입니다
-
미적분 개념나가면서 어삼쉬사푸는데 한 20문제남아서... 한권더풀까요 어삼쉬사.....
-
텍스트가 너무 많은데;;;; 주요내용만 외우면 안되겠죠.?
-
사탐 과목추천 6
사탐런할건데 생윤사문이 정배? 근데 윤리 진짜 재미없어보이는데 지리는 어떰?...
-
무슨 컷 해달라고 하지
-
2406은 어디갔나요 라는 댓글은 ㄴㄴ
-
암산력 테스트 1
저거 50점 어케 하는겨
-
뭐하지
-
유의미하게 편한가요
-
사탐런이 정답일까… 20
07 현역입니다. 탐구는 물리1, 지구1을 선택해 공부를 하고 있지만, 국어와...
-
한의 8
이거 찐일까요?? 2,3지망 없고 이거만 띡 있던데..+진학사 점공엔 없어요
-
이잉
-
3월부터 등원할건데 이리저리 바쁘게살다가 이제야 입학상담 예약했는데 동성로 및...
-
K말고 t를 먼저 구해야 편하게 풀릴거 같은데
-
중앙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중앙대25][필수교양 제도와 과목소개]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중앙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중앙대학생, 중앙대...
-
션티 키스타트랑 신택스 병행해도돼요? 방학에 영어 ㅈㄴ해야할거같은데 ㅠ 학교다니면서...
-
저녁 먹고는 책 읽을까 지랄말고 공부하는게맞나
-
새기분 필수? 0
본인은 러셀에서 필수 수업 요건 때문에 강기분을 듣고 있음. 내일이면 끝나는데...
-
커담 6
추워
-
美 언론 "트럼프 수사 담당 FBI 직원 수백명 해고 추진중" 1
의회의사당 폭동 사건 수사 검사들 약 30명 면직 FBI요원협의회 "나라 보호하는...
-
궁금해요
-
복귀 0
.
-
저능아식 화2 풀이 11
25수능
-
학생이 자기입으로 저 아파요 하기 좀 그런 상황이었던게 1
지난번 수업은 설날당일이었는데 1시간전에 파토냄(가족일때문에)그래서 아마 또...
-
지금 내가 그런데
-
오늘도 밤 샐까
-
나도 블라 한번 먹어보자
-
윤도영 매트릭스 0
완전 초반 공부하는데 가장 기본형태만 외워놓고 push하는건 그때그때 상황봐서하면 되는거죠?
-
주말까지 달리면 6모전에 지쳐서 나가 떨어질듯..
-
애가 30분 늦게 왔는데 목소리가 무슨 담배 20년 피운 골초같아서 물어보니까...
-
가지마 베베
-
총학생회 OT: 2월 13일 (목) 필수 아님 치대 OT: 2월 17일 (월)...
좋은글 항상 감사합니다
같은 고2인데 경외롭네요.
몇 개월 전에 맥스웰 방정식 공부하면서 질문했던 내용이...
자기장의 다이버전스 식에 대해 탐구하던 중 이에 대해 담임선생님께 질문했는데, 그냥 모든 관측 결과가 그 식을 지지하기 때문에 (관측되지 않은 예외가 이를테면 자기 홀극) 식을 사용한다라고 말씀하셔서 개인적으로 큰 충격이었는데...
포인트는 다르지만 그 일이 다시 생각나네요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