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tellar] 9월 모평 지구과학1 총평 및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58220998
안녕하세요.
Castellar 지구과학 N제 저자 김효길 입니다.
오늘 9월 모의평가 응시하신다고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아직 문제지 및 정답지가 공개되지는 않았는데요.
제가 풀어본 결과를 바탕으로 간단한 정리 및 해설을 작성해봤습니다.
2번 : 올해 수능특강 p.33의 3번 문항을 연계한 것 같습니다.
ㄴ. 해양 지각은 해령에서 갓 태어난 신생아들이 많고, 어느 정도 살다가 섭입하여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에 반해 대륙 지각은 중장년~노년층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ㄷ. 수능특강 p.33의 3번 문항 ㄱ선지에서도 출제되었듯, 상부 맨틀에서만 대류가 일어나는 모형에서는 뜨거운 플룸에 의해 열점이 생성되는 등의 현상은 설명할 수 없습니다.
7번 : 문항의 유형이나 그림 자료 자체는 굉장히 친숙하고 흔합니다. 다만, 시험 현장에서 마주치면 괜히 낯설게 느껴집니다. A는 오르도비스기 말, B는 페름기 말, C는 백악기 말입니다.
ㄴ. 최초의 양서류 출현은 ‘고생대 데본기’입니다. 따라서 A와 B의 사이가 되겠네요. 사실 A와 B가 어느 ‘기’인지 정확히 모르더라도, 그림의 가로축(시간)을 바탕으로 때려 맞히는 것도 가능은 합니다.
ㄷ. C가 중생대 백악기 말기이므로, 약 3천만 년 전인 신생대에 형성된 히말라야 산맥은 C보다 이후에 형성되었습니다.
9번 : ㄷ선지 때문에 약간 멈칫했을 수도 있네요. 베니오프대에서의 마그마 생성에 대한 내용인데요. 수능특강 p.27의 맨 위 그림+개념을 꼼꼼히 봤다면 정답을 맞히기가 수월했을 겁니다.
ㄷ. C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현상은 위 그림에서 C→C'의 과정에 해당합니다. ㉠과는 연관이 없습니다.
10번 : ㄴ선지가 좀 당황스러웠을 수도 있는데, 평가원 기출 학습이 잘 되었다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었습니다.
ㄴ.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물질(보통 물질+암흑 물질)의 밀도는 감소하지만 암흑 에너지의 밀도는 상대적으로 거의 일정합니다. 따라서 우주가 팽창하는 동안 암흑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B의 비율/C의 비율'은 감소합니다.
11번 : 에너지 수송 방향을 바탕으로 왼쪽이 북반구, 오른쪽이 남반구임을 알 수 있습니다.
ㄷ. 캘리포니아 해류는 북반구 중위도 해역에서 나타납니다. C는 남반구 중위도입니다.
12번 : ㄴ선지가 조금 재미있습니다. 우리가 다루는 물리량의 공식도 중요하지만, 정의 또한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ㄴ. ‘표면에서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에 방출하는 에너지양’은 표면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합니다. 슈테판 볼츠만 법칙이죠. 그냥 표면 온도를 비교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13번 : ㄷ선지만 봅시다.
ㄷ. 공기의 연직 운동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활발합니다. 태풍의 눈에서 약한 하강 기류가 나타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추론하여 풀면되는 선지입니다.
14번 : 표를 채워야겠죠. ㉠의 광도는 0.01, ㉡의 표면 온도는 2, ㉢의 반지름은 16입니다.
ㄱ. 빈의 변위 법칙. 다들 아실 거라고 믿습니다.
ㄴ. 5등급 차이마다 광도는 100배 차이입니다. 10등급이면 10000배 차이죠.
ㄷ. ㉡은 주계열성, ㉢은 거성입니다. 일단 ㉡과 ㉢은 서로 다른 별입니다. 태생이 달라요. 광도를 보면 ㉡이 ㉢보다 큰데요. 주계열성은 보통 거성으로 진화하면서 광도가 커집니다. ㉢은 주계열 시기에서 광도가 커진 ‘거성’임에도 불구하고 주계열성인 ㉢보다 광도가 작아요. 즉, ㉡이 거성으로 진화하면, 그 광도는 현재 ㉢의 광도인 81보다 훨씬 커지겠죠. 따라서 질량은 ㉡이 ㉢보다 큽니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면, 두 별의 나이도 비교할 수 있겠지만, 이 문항에서 거기까지는 다루지 않았네요. 아쉽습니다.
15 & 16번 :
이런 유형의 문항은 평가원 기출과 EBS 연계교재를 충분히 학습했다면 개념과 난이도가 막 어렵지는 않은데요. 다만 꼼꼼히 푸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몰라서 틀리기보다는 작은 실수 하나 때문에 틀리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18번 : ㄴ선지에서 ‘루트를 씌우지 않는 실수’만 안 했다면 쉽게 풀어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행성이 식 현상을 일으킬 때 별빛을 가리면서 밝기가 변하는데요. 이때 밝기 변화량은 지구에서 바라본 행성의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행성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ㄴ선지에서 준 값은 1/125에 루트 씌운 값이 되겠죠.
19번 : 집중을 안 하고 풀면 저도 약간 헷갈리는 문항입니다. A와 B... X와 Y... 50%와 25%... 이 퍼즐을 잘 맞춰야 합니다.
ㄱ. X와 Y의 반감기는 그림 (나)에서 세로축 값이 1이 되는 시기(시간)에 해당합니다. 반감기는 X가 1억년, Y가 2억년입니다.
ㄴ. 생성된 순서는 A→B입니다. 일단 ‘처음 대비 현재 방사성 원소의 양’이 X가 25%, Y가 50%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X는 반감기를 2번 거쳤으니 연령이 2억년, Y는 반감기를 1번 거쳤으니 연령이 2억년입니다. X와 Y의 연령은 같을 수가 없으므로 이제 반대로 가정해야 합니다.
X가 50%, Y가 25%라고 가정해봅시다. 그러면 X와 Y의 연령은 각각 1억년, 4억년입니다. 따라서 A에는 4억년 된 Y가, B에는 1억년 된 X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ㄷ. 단층이 A의 관입보다 먼저 형성되었으므로 단층의 형성 시기는 4억년보다 이전입니다. 따라서 단층이 중생대에 형성되었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20번 : 작년 6월 모의평가 19번 문항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 문항입니다. 빛이 꼬물꼬물 움직여가는 그 문항, 기억나시나요?
ㄷ.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빛은 80억 년 동안 80억 광년을 갑니다. 하지만 빛이 관측자에게로 가는 80억 년 전~현재 동안에 계속 우주가 팽창했으므로 ㉠은 80억 광년보다 큽니다.
난이도가 많이 어렵지는 않았지만, 그닥 쉽지도 않았습니다.
슥슥 풀다가 잠깐 멈칫하게 되는 선지도 있었던 것 같네요.
대체로 베이스는 기존 평가원 기출의 것을 가져오되, 선지의 내용 및 구성을 조금 변형한 느낌입니다.
혹시 모를 오류 및 오타에 대한 문의는 댓글이나 쪽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모두 고생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아요 한 번씩만 누르고 가주세욥 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릴 부르지 let us 두둥실
-
댓글 ㄱㄱ
-
중산층은 원래 안 주나
-
어떰
-
전적대는 애들 입학 한달 지나고부터 학식 안먹던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올려두는거 어케생각함. . .
-
⭐️⭐️⭐️⭐️ 영상 퀄리티가 너무 뛰어나고 배경음악과의 조화가 너무 잘 맞음....
-
아시는분 ㅜㅜ
-
자막키고보세요
-
이륙못하고 10분 기다리라더니 Medical emergency 발생했다고 터미널로...
-
문재인 “尹 검찰총장 선택 후회… 큰 책임 느낀다” 2
문재인 전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을 검찰총장으로 발탁한 것에 대해 후회한다고 했다....
-
왜 스매쉬한테 밀려서 주전따잇한걸로 긁히는거임? 내로남불은 슼갈평ㅋㅋ
-
버기 2
버드 기상
-
출근이 싫어요 3
-
아
-
로스쿨은 리트 지능 때문에 힘들다해도 은행은 웬만하면 다 가는거 아닌가 20대부터...
-
얼버기 3
언백 적백 맞고싶다
-
26요청) 드디어 완성, 2026 수능 기하 태도정리노트 10
오르비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기하러 ㅋㅅㅋㅌ입니다. 정말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송파구, 시급 Max 4.5 직장인 수험생입니다 물리1 50점을 향한 여정 간단한...
-
딱 이쁜자리임
-
어서 얘기해주고 가!
-
얼버기 2
안잔거에요
-
숭실대 전과 1
올해 입학하는 사람한테도 쉬울까요? 새롭게 자전으로 인원을 많이 뽑은 거 같아...
-
자작문제 수2 1
-
하 개피곤하다 1
과외 뺑이치기 시작
-
[속보]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2
[속보]트럼프 "10일 모든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발표"
-
이제 다들 잘시간 11
잘자요
-
Sky미만 서성한 중경외시는 거기서 거기겠죠? 현재 중경외시 중 하나 재학중인데...
-
얼버기 4
-
숭실 자전 입학할 것 같은데 사탐 공대러에게 혹시 추천해주실 수 있을까요..?...
-
씨 이거 탈수있나
-
메인 이제 봤네ㅋㅋㅋㅋ 19
1315925 이새끼는 현직교사라는 놈이ㅋㅋㅋㅋㅋㅋ뭐 어디...
-
얼버기 7
새로운 한 주의 시작
-
아파서 휴식
-
수학 몇 문제 2
보통 하루에 수학 몇 문제 푸시나요? 1-2등급 기준
-
문과 생윤 사문선택 34314였고 강사라인 딱히 크게 보지 않습니다 ㅠ 강사라인...
-
얼버기 5
-
지금 출눈하고있고 개학하고 내신에서 생윤해요 근데 수학이 부족해서 포스텝전에는...
-
예전 사문 생각하면 10년전 기출도 갑자기 내던데 이거 아무리 저격먹었다해도 절대...
-
수능진입하려고 서울로 상경할려하는데 고시원만알아보다 학사라는 거주시설도 있더라구요?...
-
얼버기 2
얼리 버드의 기적 세상을 놀라게 하다
-
얼버기 0
3시간을 뒤척여서 넘 피곤..
-
제자야 기상해라 4
넵. 이제 슬슬 일어나야지…. 다들 안뇽
-
연표 순서대로 깡암기
-
글 한번 싹 밀어야지..
-
레어 너무 맘에 드는
14번 중간에 별 ㄴ이랑 별 ㄷ 바뀐 것 같습니다..!
수정 완료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번 ㄷ 설명에 대해 조심스럽게 말씀드리자면, 빛이 여행한 거리(광행 거리)는 빛이 80억 년을 진행했다면 어쨌든 80억 광년입니다. 즉, 우주가 팽창하는 상황에서도 빛은 80억 년동안 80억 광년을 갑니다. 다만 그 빛이 방출된 천체까지의 고유 거리가 다른 것이며, 20번 ㄷ 선지는 이 고유 거리를 묻는 것이 의도라고 판단됩니다. 교과서의 '우주의 지평선' 에 대한 설명이 광행 거리를 기본으로 하여 설명이 되어 있는데, 다짜고짜 고유 거리에 대해 묻는 문제를 낸 의도가 도무지 이해되지 않네요...
일단 '팽창'이라는 변수를 제외하고 편하게 생각해보자는 의미에서, 팽창하지 않는 우주에서 빛이 80억 년 동안 80억 광년을 간다고 서술했는데, 이게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빛이 80억 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가 80억 광년이 아니다"로 오해할 여지도 있겠네요.
아 그런 의도셨군요. 감사합니다. 평소 자료 퀄리티에 감탄해왔습니다. 응원하겠습니다~!
14번에 ㄷ선지에 ㉢이 ㉡보다 광도가 작다 인 것 같아요
ㄴ을 두번 썼네요... 오탈자 수정 완료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제가 18번 ㄴ은 빛은 파장이므로 r^2에 비례하겠지 땡! 하고 잘 선별해냈는데요 ㄷ은 t1과 t2가 밝기가 같으니 흡수선 파장도 같고 틀린 선지니까 1번이 돼야하는 거 아닌가요?
t3일 때 별빛의 편이량이 0이고 t1, t2일 때는 적색 편이, t3 이후에는 청색 편이 입니다. 따라서 중심별의 흡수선 파장은 t1에서 t5로 갈수록 계속 짧아집니다
아 조건에서 시선 속도 변화가 공통 질량 중심에 대한 공전에 의해서만 나타난다고 돼있네요. 근데 t1에서 t2로 갈 때 중심별의 경우 적색 편이가 일어난다면 파장이 길어지는 게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