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괴 [494830] · MS 2014 · 쪽지

2015-01-09 16:46:15
조회수 2,426

문학이 우리의 발목을 잡을 수 없는 결정적 이유. (So Simple!)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5450874

(39.3K) [1098]

문학심심풀이_문제_.pdf

 

 

 안녕하세요. 국괴입니다.


 방금 전에 비문학 관련 칼럼 하나 올려놓고, 또 칼럼 하나 올리게 되네요. 

 

 비문학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문학 관련 자료를 올리는 이유는 생각 외로 '문학'을 어렵게 생가하는 학생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조금 답답함이 느껴지더군요.

 

 많은 학생들이 여전히

 

 "나는 비문학은 잘하는데 문학이 약해."

 

 "화작문에서 자꾸 2~3개씩 틀려요. 문법 강의 추천 좀 해주세요."

 

 "나는 문학은 다 맞는데 자꾸 비문학에서 틀려." 등등

 

 제가 이 곳 오르비에서 지속적으로 쓰고 있는 칼럼들의 중심적인 내용은 수능국어의 본질은 절대적으로 "비문학"에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아직 문학에 대해선 자세하게 다루지도 않았죠. 

 

 그리고 비문학이 안되면 문학도, 문법도 잘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지금부터 왜 "문학이 여러분의 발목을 잡을 수 없는지"와 더불어 "왜 문학 공부에 있어서도 비문학이 기반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간단히 말씀드리겠습니다.

 

 문학은 비문학과 달리 그 전지전능한 평가원에서 '원문'을 건드릴 수 없습니다.

 

 이는 문제를 출제하는 평가원의 출제위원들에게 '문제 출제의 용이함'과 더불어 '고난이도 형성의 어려움'을 동시에 전달합니다.

 

 비문학의 경우 여러분으로 하여금 시험장에서 고민하게 만들기 위해 본인들이 시험을 출제하기 위해 접한 자료(ex.논문)를 직접 "재구성"합니다. 이는 단순히 편집을 하는 수준이 아니라, 문제를 출제해놓고 해당 문항과 따로 놀 수 없게끔 지문을 "다시 쓴다"의 개념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글을 직접 쓰기 때문에 여러분이 어디에서 고민하고, 오답임에도 어디에서 애매함을 느낄지 명확하게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대개의 경우, 매년 여러분을 '미치게 하는' 문항들이 비문학 [과학] 지문이나 [기술] 지문에서 출제됨은 이를 뒷받침합니다.

 

 하지만 문학은 개념어의 확실한 정립과 더불어 문학 지문을 "해석을 기반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받아가며" 읽을 줄 안다면 여러분으로 하여금 혼돈을 주기가 어렵습니다.

 

 본인들이 손을 대서 지문을 재구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의 문학에 대한 고민을 읽다가 충동적으로 문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만드는 데 총 30분 걸렸습니다.(고로 이 글도 물론 충동적이겠죠.ㅎㅎ)

 

 잠깐 보시죠.

 

 

 

 (물론 허접하지만) 제가 문제를 만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아무 작품이나 뒤져서 시 2개를 배치한다.

 

 2) 작품을 쓴 시인과 관련된 문학 비평을 활용하여 <보기>로 쓸 재료를 찾는다. 

 [ 서울대학교 출판부 권명민 교수님, 「문학사와 문학비평」활용. ]

 

 3) 그간 기출문제들에 나온 '표현상 특징'과 관련된 선지들을 쭉 나열해 놓고, 정답으로 쓸 선지를 제외하고 해당 작품과 그럴싸하게 들어 맞는 선지 4개를 추출한다.

 

 4) <보기>로 쓸 재료를 조금 더 매끄러운 문장으로 편집한다.

 

 5) 끝.

 

 

 

 30분 밖에 안 걸릴만 하죠?

 

 물론 평가원에서 저처럼 성의없이 문제를 만들진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제가 한 행위나 평가원이 문학 기출 문제를 출제하는 과정이나 크게 다를 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가장 큰 차이는 "원문을 건드릴 수 없다"는 대원칙이 일개 대학생인 저나, 평가원의 출제위원님들에게나 동일하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과정이 이리도 단순한데 문제가 여러분을 미치게 할 만큼 어려울 수 있을까요?

 

 결.코. 그럴 수 없습니다.

 

 여러분의 사고 과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역시 그 깊이가 매우 낮습니다.

 

 그분들이 성의가 없어서가 아니고, 원문 텍스트를 건드릴 수 없기 때문이죠.

 

 충동적으로 쓰다보니 글이 참 두서없네요.

 

 짧게 결론을 짓겠습니다.

 

 1) 문학은 "해석"을 하며 읽는 영역이 아니다. 문학도 결국 "글"일 뿐. 오히려 비문학보다 훨씬 쉬운 "글"이다.

 따라서 내가 문학을 못한다면, 문학적 개념이 부족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글을 읽을 줄 몰라서인지에 대한 문제는 본인이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 한다.

 

 2) 문학과 비문학의 가장 결정적인 차이는 "제목의 유무"이다. 따라서 "제목"을 중심으로 글을 일관성 있게 읽을 수 있는가에 대한 연습이 필요하다. (추후 칼럼에서 다루어보죠.) 

 

 3) 문학의 표현상 특징 / 서술상 특징은 비문학과 구별되는 특징이다. EBS에도, 시중 인터넷 강의에도, 시중 교재에도 문학의 "개념어"와 관련된 좋은 책과 강의는 많으니 기출문제에 있는 모든 개념어 선지를 쭉 나열해서 정리할 필요성은 있다.

 => 그리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EBS의 문제를 통해서 익히기보다, 기출 문제에 등장하는 선지들을 "작품에 근거하여" 정리하는 게 옳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선지 하나하나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기준은 절대적으로 '평가원 기출'이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정도는 되어야 해당 선지가 적절하다"는 기준을 잡으셔야 합니다

 

  4) 결국, 문학은 쉽다.

 

 

 상당히 짧고, 단발성 글이라 얼마나 여러분의 피부에 와 닿을지는 모르겠지만 뜬금없이 몇몇 학생들이 보이는 '문학'에 대한 근심을 보고 부담을 줄여보고자 충동적으로 작성했습니다. 이해해 주시길::)

 

 PS. 문제는 첨부했습니다. 정답은 댓글에 남겨놓도록 하겠습니다!

       & 얼마나 평가원틱했는지도 피드백을 주시면 더욱 감사하겠습니다.

  

 

0 XDK (+10)

  1. 10

  • 몰래하는공부 · 529017 · 15/01/09 17:11 · MS 2014

    그니까 비문학은 기출분석을 열심히 해도 매번 지문의난이도 조절이 원하는만큼 가능하니 기출분석을 열심히 했다고 하더라도 어느정도 독해력이 뒷받침 되지않으면 킬러문제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고 문학의 경우 난이도가 일정수준에 머무르고 지문에 과한 조작을 할 수 없으니 기출분석을 통해서 평가원의 코드정도만 알아내면 절대 틀릴 이유가 없다는 뜻인가요??

  • 국괴 · 494830 · 15/01/09 17:15 · MS 2014

    정확합니다. 매우 정확하게 글의 논지를 파악하셨네요.

    단, 비문학 기출분석 역시 평가원의 코드를 알아야하는 것은 기본 전제입니다.

    사실 이 글이 겨냥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문학 작품의 정리의 무용성'에 관한 것이기도 하거든요. (물론 고전문학은 제외입니다!)

  • 몰래하는공부 · 529017 · 15/01/09 17:20 · MS 2014

    오.. 그렇군요 제가 항상 국어점수가 널뛰기식이라 걱정이 많았는데 올려주신 글들 다 정독해봐야겠네요 좋은 자료들 감사합니다

  • 국괴 · 494830 · 15/01/09 17:23 · MS 2014

    꼭 출력하셔서 정독하셔요^^
    공부는 몰래해야 제 맛!::)
    PS. 오르비 클래스 가시면 작년에 제가 찍었던 무료강의가 있습니다.
    '강좌명 : 출제자와 썸타기'를 한 번 활용해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부족하겠지만 참조하셔요^^

  • 몰래하는공부 · 529017 · 15/01/09 17:30 · MS 2014

    강의도 있군요 꼭 보겠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