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어. [472191] · MS 2013 · 쪽지

2014-12-15 20:58:09
조회수 3,710

[한국사]2016학년도 수능한국사를 위한 제언(스압)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5263922

안녕하세욥:^)
수능에서 사탐만 잘 보고 돌아온 예전에 EBS 한국사 정리자료 올렸던 스름읍느드...(오열)

요번에는 2016학년도 마지막 선택과목으로서 한국사를 공부하고자하는 분들을 위해성
제가 예전에 적어뒀던 공부법을 복붙+약간의 수정하여 올려 봅니당 !!! 

한국사 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용 ^~^ 


+ PC VER.로 보는걸 추천해요

한국사 처음 하시는 분들은 1번,3번,6번,7,번,8번만 자세히 보세여! 
나머지 내용들은 복붙이나 프린트 해뒀다강 공부 좀 하고나서 보시길 :^)


[ 1.개념. 최소 3번! ]

 

개념 첫번째 돌릴때 : 사건 별 인과관계 파악(배경->전개과정->결과,영향,의의,한계)과 전체적 흐름 이해 중점!

재밌는 얘기 듣는다(읽는다)고 생각하고 편안하게 공부하는걸 추천합니당.첨부터 다 외워버리겠다고 생각하지마세여 ㅠㅠ 

이때, 개념 공부 후 기출은 풀지말고 수능특강 기본문제 정도만 점검 차원에서 가볍게 풀어줍니다 (기출은 두번째부터~ 기출문제는 시대통합형으로 나오는 문제가 많기 때문에 괜히 풀었다가 상처받아여 ㅠㅠ )



두번째부터 : 흐름 + 통시적인 관점에서의 이해가 중요해요. ​개념공부하면서 앞서 배운 내용과 연관지으려는 노력을 의식적으로 하는 게 좋습니당

 

가령, 대한제국 광무개혁 때 양전,지계 사업을 실시했다는 내용을 공부했​다고 쳐봅시다


그때, 의식적으로


' 양전사업? 어디서 많이 봤는데? 아~흥선대원군도 양전사업 실시했었지!하지만 토지소유문서를 발급한다거나 하지는 않았어! '

 

이런 생각을 해야해욥!!!!

 

ex)

영조-대원군 개혁 공통점 : 서원정리, 군포 징수제 개혁


근현대사 나라 별 내용정리 :

미국 - 신미양요,조미수호,운산금광 채굴권,전차·전기 부설권,경인선 부설권(후에 미->일)

러시아 - ​독자수교,삼국간섭절영도조차 시도,한러은행,울릉도 산림채벌권,

영국 - 거문도사건,은산금광채굴권

프랑스 - 경의선 부설권(후에 프->일),삼국간섭

독일 - 오페르트 도굴사건,삼국간섭

인물 :

이상설 - 서전서숙,대한 광복군 정부,헤이그특사

박은식 - 유교구신론,조선광문회,한국통사,한국독립운동지혈사,임정 2대 대통령

(+김규식,김구,이승만,신채호,여운형도 자주 출제됩니다! 꼭 정리하세요)

공화정 지향 : 신민회,대한 광복회,대한 광복군 정부 등

 

지역 :

광주 - 광주학생항일운동,5.18 민주항쟁

원산 - 원산학사(1883)​,경원선(1914),원산노동자총파업(1929)

​평양 - 장수왕 평양천도(남하정책),조선물산장려회(1920,조만식),남북협상(1948,김구,김규식)

​블라디보스토크 - 권업회,대한 광복군 정부,해조신문,대한 국민 의회

(+ 지역은 꼭 지도와 함께 공부해야합니다! 은근 자주 나오는 지역 통합문제!)

[ 2.동일 주제 下 자주 비교되는 사건(인물)들 공략하세욥! ]

​ex )

임시정부 : 상하이임정 vs 충칭임정

국학운동 : 국문연구소(국권피탈기) vs 조선어학회(일제강점기)

역사연구 : 신채호 vs 박은식 vs 백남운

​구한말 개혁 : 갑오개혁 1차 vs 갑오개혁 2차 vs 을미개혁 vs 광무개혁

일제강점기 민중 민족독립운동 : 3.1운동(고종인산일) vs 6.10만세운동(순종인산일)

친일파 : 일진회(구한말,1910년에 사라진다) vs 중추원(1910년대) vs 부면협의회,도평의회(1920년대)

​의병운동 : 을미 vs 을사 vs 정미

​노동운동 : 1920년대(생존 투쟁,합법적) vs 1930년대 (생존+정치 투쟁,비합법적·혁명적)

​1910년대 국내 비밀결사 : 독립의군부 vs 대한 광복회

[ 3.연도 꼭 달달 암기해야하나여?ㅠ -> 외울 건 외우세욥! 굳이 안 외워도 되는건 넘어가도 괜찮습니당  ]

 

처음부터 달달 외울 필요없고 2번정도 개념 돌리면 일단 큰 줄기의 사건들은 절로 암기가 될 거예요(임오군란,갑신정변,갑오개혁 등등...)

나머지는 대략적으로 어느 시기인지만 알아도 괜찮습니다

 

예를들어 기호흥학회,서북학회가 언제 설립되었는지를 정확히 알지 않아도 괜찮아여(적어도 현 수능 한국사에서는!!!!) 

애국계몽기(혹은 국권피탈기)라는 정도만 알면 됩니다


​+ 전신,광혜원은 갑신정변 이후 쯤. 진달래꽃,님의침묵,빼앗긴 들에도 봄오는가 등의 민족정서 문학은 1920년대 ~~

 

하지만 기출에서 자주 등장하고, '시작'과 '끝'까지정확히 알아둬야하는 몇몇의 연도는 암기해두는게 좋아요(라고 했는데 사실 1등급을 위해서는 필수..!!!!)

대표적으로 몇가지 적어보자면,

한성순보(1883~1884),육영공원(1886~1894),한성전기회사(1898),경인선(1899),전차(1899),한성중학교(1900),경부선(1905),대한자강회(1906~1907),

원각사(1908~1909),대종교(1909),대한 광복군 정부(1914),암태도소작쟁의(1923),조선청년총동맹(1924 신간회 이전인게 중요!),조선노농총동맹(1924),치안유지법(1925),

나운규 아리랑(1926),중일전쟁(1937),태평양전쟁(1941)

대충 생각나는거 적어봤습니당

​나머지는 스스로 공부하시면서 암기하시길 :)

 

[ 4.같은 연도 안에 사건이 여러개 나올 경우, 순서에 유의하세욥! ]

1866 병인박해 -> 제너럴셔먼호사건 -> 병인양요

1882 조미수호 -> 임오군란 -> 조청상민

1894 고부민란 -> 신임군수 박원명 -> 안핵사 이용태의 탄압 -> 1차 동학농민운동 -> 전주성점령 -> 청군 개입 -> 전주화약 -> 경복궁쿠데타 -> 1차갑오개혁 -> 2차봉기 -> 2차갑오개혁

1904 고종 중립 선언 -> 러일전쟁 -> 한일의정서 -> 대한시설강령 -> 제1차한일협약

1907 헤이그특사 -> 고종퇴위 ->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 군대해산

[ 5.유사품에 주의하자! ]

​대한이들 : 대한/광복군/정부,대한/국민/의회 ->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대한인/국민회 -> 미/주 (나름의 암기 tip..ㅎㅎ)

독트린들 : ​트루먼 독트린(냉전 스타트),닉슨 독트린(냉전 완화)

​대한독립군들 : 대한독립군(홍범도,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 참여) -> 대한독립군'단'(서일,밀산부) (대한독립군단이 나중! 나중이니까 한글자가 뒤에 더 붙었다고 외우면 됩니당)

​건국준비 단체들 : 조선건국동맹(여운형,국내),조선독립동맹(김두봉,국외) (조선'건국'동맹은 후에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되져!)

 

[ 6.현대사 ​]

대체적으로 쉽게나오고 뒷쪽이다보니 소홀히 하기 쉬워요

그러나 언제 통수를 칠지 모르는 파트이니 꼼꼼히 봐두는게 심신에 좋습니다

(2015학년도 6평 현대사 문제인 19,20번의 경우,정답률이 50% 정도였습니당)

​현대사 중에서 킬러문제로 나올 수 있는 주제와 포인트를 꼽아보자면,

개헌史 : 헌법적용 시기판단 문제,대통령 직선제/간선제 여부,중임 허용 여부,임기)

모스크바3상회의~남한단독선거 : 순서 중요! UN 총회에선 인구비례총선 결의, UN 소총회에서는 가능지역총선거 결의(=남한단독선거)

농지개혁 : 제헌국회,북한과 비교,지가증권 

​통일 정책 : 7.4 남북공동성명 전부터 적십자회담,최초 이산가족 상봉 전두환때,금강산 관광 시작은 98년이고 육로관광 시작은 2000년대,남북UN동시가입->남북기본합의서->남북비핵화선언

6.25 시기판단 : 50년 9월 인천상륙작전,50년 11월 중공군 개입,51년 7월 휴점회담 시작,53년 6월 반공포로석방,53년 7월 휴전,53년 11월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이정도가 있겠습니당

 

결국 올 15수능 19번에서도 현대사가 뒷통수를 쳤지요여^^; 물론 저는 맞았습니다 후후후후 


[ 7.전근대사때문에 머리 터지겠어요 ]

 

일단 이것만 말해둘게요!

예전 국사 기출 문제 전~혀 볼 필요 없습니다!!!!!!!! 괜히 보면..아마 멘붕와서 한국사 포기하실거예여....;ㅅ;

2014,2015학년도 평가원과 교육청 기출과 수능특강,수능완성 문제만 충실히 봐도 괜찮습니다!!!

(사실 연계교재에도  수능 한국사 범위 넘어선 문제가 쫌 있어요ㅠㅠ

 

 

 tip) 전근대사 빈출주제  : 

 

선사 -> 신석기,청동기가 압도적으로 많이 나옵니당!!!

고대국가 -> 지도 혹은 그림 보고 4세기,5세기,6세기,7세기 시기판단하는 문제가 주로 출제됩니당

고려 -> 태조 · 광종 · 성종 · 공민왕 업적,문벌귀족 · 권문세족 · 신진사대부 특징,윤관여진(별무반->동북9성)

조선 -> 수취체제(영정법,균역법,대동법),조선 전기/후기 사회·문화 비교,사림 관련~(서원,향약,조광조 등),정조 vs 영조 (vs 대원군)



[ 8.세계사, 어디까지 알아야해여 ㅠㅠ? ]


한국사 교과서를 보면 세계사 내용이 꽤 많이나와서 당황할 수 있어요

안 보자니 찝찝하고, 다 보자니 내용이 너무 많져 ㅠㅠ 저도 그랬어여...

 

하지만 분명히 해둘 것은, 수능 한국사는 한국의 역사를 중심으로 배우는 '한국'사이지 '세계'사가 아니라는 겁니당!

따라서 깊이있게 세계사를 공부해야할 필요는 없고,

세계사에서 굵직굵직한 사건들의 연도와 간략한 내용, 그리고 그 사건이 어떤식으로 한국사에 영향을 주었는지(혹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정도만 파악하면 됩니당 !!! 

 


tip) 반드시 외워야 할 세계사 연도

 

1868 日 메이지유신 

1905 美-日가쓰라태프트밀약 : 러-일전쟁 中,미국은 일본의 우리나라 지배를,일본은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인정

1905 露- 포츠머스강화조약 : 러-일전쟁 강화조약

1907 네덜란드 헤이그만국평화회의 : 고종의 헤이그 특사파견과 연결

1919 프랑스 파리강화회의 : 1차 세계대전 전후처리,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제창됨 -> 3.1운동 영향

1929 세계대공황 (15 수능에도 나왔죠!)

1931 만주사변 : 일본의 본격적 대륙침략 스탙! 

1932 만주국 

1937 중일전쟁 시작

1941 태평양전쟁 시작

 



지적과 질문 환영합니당 :D

반응 괜찮으면 기출문제 활용법도 올려볼까해용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불꽃남자정병장 · 536767 · 14/12/15 21:00 · MS 2017

    좋은 글이네요 그런데 3포라던가 고려 3경이라던가 이런건 교과서 범위 내에 있는건가요? 올해 수능이요

  • Rho Aias · 527015 · 14/12/15 21:01 · MS 2014

    당연 있어요

  • 군어. · 472191 · 14/12/15 21:04 · MS 2013

    지금 옆에 교과서가 없어서 확인이 되진 않지만 아마 있을거예요!
    수특,수완에도 언급됐던 걸로 기억합니당

  • 리즌 · 510186 · 14/12/15 21:34 · MS 2014

    감사합니다 재수때 한국사 새로이 선택 하려 했는데 도움 될 거 같아요!

  • 군어. · 472191 · 14/12/15 21:36 · MS 2013

    넹! 한국사 처음 하시는거면 아마 예시나 팁내용들이 잘 와닿지 않을거예요 ㅠㅠ 복붙이나 프린트해두셨다가 나중에 공부하면서 다시 봐보세욥! 나름 꿀팁들만 모아뒀습니당

  • 리즌 · 510186 · 14/12/15 21:37 · MS 2014

    네네 그럴려구요ㅎㅎ감사해요!

  • 최소경 · 635074 · 16/01/31 02:36 · MS 2015

    참고로 한국사 필수입니다.

  • 2bornot2b · 443519 · 14/12/16 22:51 · MS 2013

    덕수궁밖에 원구단있는건 어떻게 아나여...(걍 궁금....ㅋㅋㅋ)

  • 군어. · 472191 · 14/12/17 15:05 · MS 2013

    음...저는 현역때 들었던 인강에서 선생님이 "원구단은 현 조선호텔 자리에 있었다"라고 말씀하셨던게 기억나서 맞췄어요..ㅋㅋ '조선호텔이 덕수궁 안에 있지 않으니까 이게 틀렸네!!!!'라는 사고과정을 거쳐서 ㅋㅋㅋ 쓰고보니까 저도 맞춘게 신기하네여 ㅎㅎ;;

  • 설경으로갈아타기 · 529060 · 14/12/17 12:38 · MS 2014

    한국사가 전근대서 30 근현대사 70 이렇게 나오기 시작한게 14학년 평가원이랑 수능부터인가요?? 그럼 14부터 보면 돼요?

  • 군어. · 472191 · 14/12/17 15:01 · MS 2013

    넹! 작년부터입니당~ 14학년도랑 15학년도는 교육청 모의고사도 보시는걸 추천해용(전근대사 기출이 워낙 적어서 ㅠㅠ) 그전 기출은 08학년도~13학년도 한국근현대사로 보시면 됩니당

  • sasunam · 545627 · 14/12/21 00:16 · MS 2014

    재수해서 한국사 처음 하려고 하는데 괜찮을런지요?ㅠㅠ

  • 군어. · 472191 · 14/12/21 03:28 · MS 2013

    국영수에 자신 있으시면요!

  • sasunam · 545627 · 14/12/21 21:06 · MS 2014

    수학에 자신이 별로 없습니다..

  • 군어. · 472191 · 14/12/21 23:18 · MS 2013

    그럼 쫌 고민 더 해보세요 ㅜㅠ 저는 최상위권 아닌데 한국사 공부한 케이슨데...공부 자체는 재밌게 했는데 그거랑은 별개로 시험에 대한 불안감이 다른 어떤 과목보다도 심했어여ㅠㅠ 타과목이 불안정한데 한국사의 불안함까지 더해지면 힘들거예욥

  • 아나퐁 · 538806 · 14/12/22 13:22

    윤리 좋아하는 저로서는 한국사를 한다는것 자체가 대단해보이네요...

  • 군어. · 472191 · 14/12/25 14:08 · MS 2013

    그래봤자 수능 공부져 ㅎㅎ!

  • fefaef · 505239 · 14/12/30 13:30 · MS 2014

    글 잘읽었습니다. 그런데 교과서는 어떤 출판사를 추천하시나요?

  • 군어. · 472191 · 14/12/31 01:51 · MS 2013

    미래엔이랑 비상이요!

  • 레딘그레이 · 529060 · 15/01/25 10:58 · MS 2014

    기출문제 활용법 올라왔나요?!

  • 체육교육과 · 518660 · 15/01/31 21:44 · MS 2014

    뼈대는 조금 잡힌거 같은데 이제 지엽적으로 공부해야 할까요?
    작년에 인강만 죽으라고 들어서 파이널강의 하나 사서 5번 돌려봤는데
    체화과정이 없었던거 같아서 올해 다시 개념공부하려는데 숨마쿰라우데로 혼자공부하려고
    하거든요 근데 어떻게 시작할지 모르겠어서 걱정입니다

  • 그래그래아자 · 555850 · 15/02/16 20:05 · MS 2015

    강민성 개념강의 듣고 있는데 듣고 복습방법을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다른 개념서나 교과서도 병행해야 하나요? 아니면 교재내용 외우면서 수특 문제 풀면서 가도 되나요? 지금은 문제풀기는 수특으로만 해도 되겠죠? 기출은 개념 끝나고 해도 되나요? 단권화 단권화 하는데 인강교재에 앞으로 다른 책 보면서 추가되는 내용 적어가면 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