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과 어떤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42113736
학부모입니다. 저희 애가 천문학과 가고 싶다 하고, 저는 전망 없을 듯하여 반대하고 있는데, 어떤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점심시간에 무슨 음료수 주길래 쳐마셨는데 그게 켜피였음 근데 난 커피를 끊었음...
-
강의 듣는거 없긴한데
-
개념강의, 기출 풀엇고 m 스킬도 듣긴 들음. 기출 오답 반복?
-
저 지구 고순데 1
진짜임
-
메가가 안돼? 0
대성 보면 되잖아 (대충 윤성빈)
-
저녁 추천받아요 0
고고
-
행복하고 싶다 라던지 죽고싶다 라던지... 좋을 때도 올림
-
수능 -청년 수능은 좆같다 그래서 좋다
-
오랜만입니다수학I 삼각함수의 도형 활용 자작문항인데, 중학기하로도 풀 수 있는...
-
어쩔티비
-
메가 인강보는법 3
로딩 기다리면서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거 보니까 되는데?
-
든프 현실회로 1
오늘경기부터 5라까지 다이기다가 마지막경기저셔 "시즌아웃"
-
ㅈㅂ
-
1유형)개그지같이 생김 먹기 존나 빡셈 치킨 막 튀어나와있고 막 그 채소 그것도...
-
언매 자작 만들어보고 싶은데 중세 국어 어케쓰는지를 모르겠어여
-
수1아이디어 거의다했고 기생집->뉴런,수분감 으로 하려하는데 겹치는 포지션이라 별로일까요?
-
얘들아 미리 고마워ㅔ
-
누군가는 니가 하루 6시간 씩 3년 공부해서 얻은 실력을 태어나자 마자 가지고 있었다
-
4규, 지인선, 드릴이랑 하프모 빼고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슴다 이유도 같이...
-
사이트 Ui 바뀐거 보니 갑자기 생각나네 원래 오르비 글 들어가면 항상 떠 있었는데
-
글 쓰라고
-
은 구라고 공스타 하는법 알려주세요
-
해는 나그네의 옷을 벗길만 하구나
-
수학 쎈 - 수2 시발점 - 수2 한완수 - 수2 기출생각집 - 수2 개념원리 -...
-
뭔가뭔가네
-
김범준 들을때 4
열심히 문제 풀고 강의듣는데 범준쌤이 "접근0... 솔직히 이건 제가 개무시하는...
-
기출만 하면 안되려나 시간이 안될거같은데 ㅜ 목표는 낮2 높3
-
그게 난이도 대비 표점차 괴리 그나마 적음 다같이 불타죽으니까
-
미안하다고 하기전에 걔가 사과함.. 내가 말하면서 가다가 박은건데.. 다음에...
-
선착순3명 10
인사해줌
-
실모풀 때가 아닌건가요..? 기출을 다시 봐야되나요 ㅠㅠ 70점 초반도 나오고...
-
자야돼 1
이제 진짜ㅜ자야됨
-
요즘애들 예의없다 하는데 그 현상엔 보다 깊은 원인이 있다고봄,,, 바로"형"이라고...
-
꼬추를 떼고 싶구나
-
맛있는거로
-
게임 룰은 다음과 같음 님들이 나한테 덕코를 줌 내가 받음 종료.
-
Ö 4
-
확통과 상황이 아예 다르긴 함 이게 꿀로 보이면 그건 눈이 이상한거임
-
메가 0
야 속터진다 로그인 20번을 내가 왜 하고 있는거냐……
-
에도시대 이전 출생은 눈치껏 회원탈퇴했으면
-
접속은 되는데 1
왜 강의가 미수강으로 뜨지
-
지2 주시곡선 0
지진파 ps시 구하는거 말고, 옛날에 나오던 유형 이제 안나오져? 공부하기 귀찮아서..
-
다른건 몰라도 5
수학은 잘하고 좋아했어서 그런지 수험생이 아닌데도 심심할때나 할거 없을때 수학실력...
-
기출중에 항미생물화학제 나오는거 정보량너무많아서 그림그려서 하느라 13분 걸림.. 더줄여야하나요?
-
오랜만에 이것저것 정리하고 아이디어 체크할겸 우진쌤 보러갔더니 터졌노.. 어이가없다
-
내 아내 어디 없나 10
요리 못해도 되는데 요리하는걸 좋아했음 좋겠네 없겠지 나도 알아
-
메가터짐? 0
윽건이 해설 봐야되는데
-
한 1-2분 기다리니까 늦게 들어가짐
-
강민철은 내 아내임 건들지마셈
-
별을 다 줄게 .
솔직히 전망이란건 아무도 모르는거 아닐까요?
순수학문이죠
먹고 살기 위해 가는 과는 아니죠 이거 읽어보세요
https://gall.dcinside.com/m/physics2/9185
전망없음 ㅇㅈ
솔직히 ㄹㅇ 전망없는거 아실듯.. 먹고살 수 있는 데로 가요
통계학쪽으로 취업이 된다고 합니다
제 큰 애가 이과라서, 전공 관련해서 몇 년 전에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고민해 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천문학과의 선택에서는 좀더 진지해질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별을 좋아하고 우주의 탄생과 별의 소멸 등의 이야기에 매력을 느끼며 상상 속에서 우주여행을 하면서, 천문학과를 한번쯤 생각해 보는 수험생들이 일부 있는 듯합니다. 그리고 천문학과가 동일 대학의 이과계열 학과 중에서 낮은 편에 속하다 보니, B대학 공대의 인기학과 대신에 A대학의 천문학과를 가면 학교 레벨을 한 단계 올릴 수 있다는 생각 때문에도 고려해 보는 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지원을 할 때에는 더 신중해져야 합니다.
우선 천문학과는 별자리 공부하는 학과가 아닙니다. 요즘은 전공자들조차도 천문대의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컴퓨터로 데이터를 받아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학계산으로 날새는 곳입니다. 천문학과 희망학생들의 대부분은 천문학과에서 무엇을 공부하는지 잘 모른 채로 지원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이, 졸업 후에 진출할 자리 즉 일자리가 현저히 부족하다는 겁니다. 현실 사회에서 그 공부가 쓸모가 없다는 거지요. 심지어 천문학과 진학하겠다면서 미국 유학가서 나사 취직하면 되지 않느냐는 학생도 보았는데, 천문학과와 NASA는 거의 관계가 없습니다. 나사와 관계있는 학과는 항공우주공학과 같은 것인데, 이는 기계공학과의 일부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나사에서는 외국인은 거의 받아주지 않습니다.
또한 상위레벨 대학으로 일단 입학해서 거기서 전과나 복수전공 하면 되지 않느냐는 의견도 본 적 있는데, 요즘 복수전공이 과거보다 쉬워졌다 해도 실제로는 이게 절대 쉬운 것이 아닙니다. 먼저 전과를 보면, 인기과에는 자리가 안 납니다. 복수전공도 어렵습니다. 인기과의 복수전공은 경쟁이 너무 치열하고, 경쟁에 이겨서 복전에 들어가는 학생들의 GPA는 상상 초월입니다. 또 천문학과에 입학한 후에, 무엇을 배우는지 그리고 졸업후 전망 등을 뒤늦게 알게 된 학생이 반수 같은 것을 시도하다가 학점 말아먹고 복전 시도에서 처참하게 실패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요컨대, 애초부터 확실하게 자기가 평생 가져갈 전공을 붙들지 않으면 인생이 참 힘들어집니다. 몇 년 전에 고민했던 사항이라서, 옛 생각이 나서 답글 달아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