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아이유 [352875] · MS 2010 · 쪽지

2013-11-18 02:46:28
조회수 1,719

여러분의 학과 선택과 대학생활에 대해~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3957836

고대 경제학과 11학번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수능이 끝난지 얼마되지도 않은 시점에 이런 글은... 대학라인이나 본인의 점수 위치 여부를 따지는 글이 아니라 좀 옳은 시점에 쓰여지는 글이 아닐수도 있겠으나..

막상 대학에 들어와보니, 입시 당시에 점수를 맞추어 과를 선택하는 것보단, 어느 과에서는 어느 공부를 하는지를 알고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여러분의 질문을 받고자 합니다.

경제학과에 대한 질문에는 더욱 상세히 답변이 가능할 것 같고요! 경제학과가 아니더라도 제가 아는 한 타과에 대해서도 열심히 답변 드릴게요~

점수나 입시 합/불합 여부는 제가 전혀 모르는 부분이니 질문하셔도 답변을 못 드릴거 같아요 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듀라 · 460954 · 13/11/18 07:55 · MS 2013

    님의 2014학년도 대수능 성적표

    구분 원점 표점
    국어 B 98 129 98 1
    수학 A 96 139 98 1
    영어 97 133 99 1
    경제 50 68 97 1
    사회 문화 50 68 98 1

    경제학과라면 고등학교 경제 내용의 심화부분을 배우는건가요? 제가 이번에 수능때 경제 봐서요
    그리고 경영부분이라면 3개의 경제주체에서 기업에 초점을 맞춰 어떻게 하면 기업의 목표인 이윤의 극대화를 이룰수잇을지 연구하는 학문인가요?
    아 그리고 경제 재미잇나요? ㅋㅋㅋ 경영은 어떤가요

  • 우이아이유 · 352875 · 13/11/18 13:34 · MS 2010

    네 크게 보면 경영은 그런 식으로 나가더라구요~ 경영학의 개론과 같은 수업을 들어보고 몇개 각론을 배워봤는데 듀라님께서 말씀하신대로 크게 경영학은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맞아보입니다.
    경제학도 흥미를 끌 거리는 굉장히 많습니다. 저희 학교 같은 경우, 미시 거시, 통계분석을 이용한 경제학과 같은 필수 과목 뿐만 아니라 복지나 부동산과 같은 실질적인 부분과 맞닿아 있는 부분에 대한 강의도 존재하구요, 경제사 강의도 있습니다.
    고등학교의 심화라고 보아도 되기는 하지만, 대학에서의 경제학 공부는 고등학교 수준과는 좀 거리가 있을 수도 있어요. 예를 들면 고등학교 때는 단순히 수요 곡선이 왜 우하향인지에 대해서 간단한 직관으로 이해를 시킨다면, 대학에서의 경제학은 왜 그렇게 나오는지에 대한 철저한 분석 (수학을 통한 분석, 통계자료를 통한 검증)과 더불어 예외의 경우까지 배우는 등으로 공부를 하니까요

  • 리펄젼시 · 366717 · 13/11/18 07:58 · MS 2011

    경제공부가 재밌어서 경제학과 지원하고싶은데요

    주로배우는 내용은 어떤건가요? 고전경제학이론? 아님 정보,심리 등등과 융합되서 최근나온 경제학쪽?

    cpu준비하는분 많은지랑 취업은 보통 어느쪽으로많이 가시는지궁금합니다~

  • ㅁ ㅡ ㅁ · 428151 · 13/11/18 09:44 · MS 2012

    지나가던사람인데요...cpa아닌가요??.....

  • 누구니? · 404729 · 13/11/18 09:55

    지나가던사람 ㅋㅋㅋㅋㅋ 귀엽다 ㅋㅋㅋㅋ

  • 리펄젼시 · 366717 · 13/11/18 19:47 · MS 2011

    죄송합니다;; 컴퓨터사려고 한참둘러봤더니 쿼드코어가 갖고싶네요 ㅠㅠ

  • 우이아이유 · 352875 · 13/11/18 23:50 · MS 2010

    ㅋㅋㅋ 님 센스 짱이시네여

  • ㅁ ㅡ ㅁ · 428151 · 13/11/19 07:17 · MS 2012

    이렇게뜨거운반응이잇을줄은ㅋㅋㅋㅋ

  • 우이아이유 · 352875 · 13/11/18 13:18 · MS 2010

    주류경제학이라고 일컫는 학자들의 내용부터 따로 비주류의 경제학을 공부할 수 있는 과목과 더불어, 복지나 부동산에 대한 과목도 열리는 편입니다. 저는 주로 미시나 거시에서 각론으로 더 나아가는 부분보다는 복지나 부동산과 같은 현실과 맞닥드린 부분을 배우는 것이 더 흥미가 있는데 이건 케이스바이케이스구요.
    cpa가 일단 맞고요... 주변에서 CPA 공부하는 사람은 어느 정도 있지만, 이부분은 사실 경영학과와 더 많이 맞는다고 하더라구요.. 제 주변에 경영학과와 경제학과 학생 중 더 많이 CPA를 공부하는 쪽 역시 경영학과이구요.
    취업은 주로 대기업쪽으로 많이 쓰는데 부문은 너무나 다양해서.. 딱히 무엇이다라고 말하기가 힘드네요~

  • Excelsior · 432033 · 13/11/18 10:45

    새고전학파쪽에 관심있는데 고등학교 내신으로 경제 배운 것 빼곤 거의 문외한이라고 보면 되거든요.

    처음 입문하는데 어떤 책이 도움될까요?

    그리고 고대 정경대에서 보통 경제학과 학점 컷이 어느 정도 쯤에서 끊기나요?

  • 우이아이유 · 352875 · 13/11/18 13:26 · MS 2010

    일단 고등학교 내신으로 배운 경제가 다라고 생각하시면,제 경험상 일단은 이준구 교수님의 경제학원론책을 두어번 이상 정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그리고 나서 미시이론을 배우고 나서, Excelsior님이 말씀해주신, 신고전이론을 배우면 훨씬 수월하고, 재밌게 학습하실 수 있으실 거에요~
    아 그리고 저의 일년 선배들의 경우 3.7 후반에서 경과 컷이 있었고, 저희 학번에서는 3.89가 마지노선이었던 것으로 기억하구요~ 작년에는 입시에서 빵구 나듯이 되어서 1점대 학점으로 붙은 학생도 있더라구요~

  • 뽀송낭자 · 467978 · 13/11/18 17:50 · MS 2013

    그 학과에서 대부분 회계사나 그런쪽 자격증 많이 따나요?

  • 우이아이유 · 352875 · 13/11/18 23:50 · MS 2010

    대부분이라고는 말씀드릴수는 없는데요. 공부하는 사람은 어느정도 되요. 그리고 그런 자격 시험이나 고시는 사실 과를 가리지 않고 많이 하는 편이기는 한데요. 대신 경제학과 같은 경우에 행시에 유리해요 왜냐하면 경제학이 행시과목중에 난이도가 좀 있는 편인데, 전공으로 배우다 보니까 그렇구요. 경영학과 같은 경우에는 비슷한 이유로 CPA에 유리하다고 들었습니다. 타과생들보다는 전공으로 시험과 관련한 공부를 할 수 있기 때문이죠.

  • jay.choi.921230 · 472131 · 13/11/19 13:30 · MS 2013

    연대경영11입니다. CPA는 거의 대부분이 경영학과 학생이 봅니다. 경제학과도 거의 없어요. 또, 학교 수업을 배워서 CPA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경우보다 CPA를 해서 학교수업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차라리 더 많아보입니다.

  • brilliant! · 455315 · 13/12/07 18:37 · MS 2013

    경제학과에서 공기업은 많이 안가나요??

  • 우이아이유 · 352875 · 13/12/23 05:53 · MS 2010

    준비하기 나름입니다. 공기업은 일반 사기업보다 학점도 조금은 보는 편이고, 공기업마다 평가하는 시험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