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드림국어 [441641] · MS 2013 · 쪽지

2013-10-14 19:09:58
조회수 9,145

두드림 모의고사 수정본 안내사항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3873737

오르비에서 구입한 학생들은

atom에서 부교재로 다운 가능하고,

그 외 오프라인 및 온라인 서점에서 구입한 학생들은

제 카페에(http://cafe.naver.com/youteacher or 네이버에 '유현주'검색)

구입한 교재의 사진을 찍어서 업로드 해주시고(바코드 확인 가능하도록)

메일 주소 써 주시면 파일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보내는 시간은 매일 밤 11시 이후에 일괄적으로 보낼 예정이니 참고해 주세요.

(모의고사 구입 학생의 편의를 위해 따로 멤버 분류를 하려고하니, 등업게시판에 '열심멤버'로 등업 신청해 주시면 확인 후 바로 등업해 드리겠습니다. 이후, 신청글 써주시면 파일 보내드릴게요. 모의고사에 대한 질문답변도 카페가 제일 빠르니 이 곳에서 질문해 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다시 한번 공부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단 말씀을 전해요.)

<2쇄 수정본은 언급드렸듯이 인쇄본으로는 출간되지 않을 예정이고, 전자책으로 판매됩니다.
  기존 구입한 학생은 부교재로 다운 받아주시면 됩니다. 
  저작권의 문제로 인해 무단 배포 및 공유는 삼가해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전자책으로 수정본 파일을 출간하는 것이 여러 위험을 감수해야함을 잘 알고 있었지만
  학생들을 믿으니까요. 
  과정이 어떠했건 결과는 모두 저의 잘못이니 학생들을 믿고, 
  정확한 개념을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 것이 있을지만 고려했습니다.
  지금으로선 최대한 빨리, 정확하게 학생들에게 수정한 내용을 전달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여러 손해들을 감수하고 내린 결정입니다.>


 * 화법, 작문, 문법은 올해 유형이 많이 바뀌었으므로, 최대한 어려운 난이도로 연습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기존의 난이도는 유지하되 문제에서 복수 정답의 여지가 있는 부분이나 해석상 이견이 있을 수 있는 부분을 보완하였습니다. 문학과 독서 영역은 평가원 수준으로 명확한 근거에 의해 구성된 선지들로 구성하였습니다.

유형과 개념 모두 모평과 학평에서 그대로 연계되고 있으므로, 그러한 유형들 가운데 어려운 수준으로 연습하는 것이 제일 좋을 것 같아 기존의 높은 난이도는 유지하되, 명확한 근거에 의해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보완하였으니 학습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평가원 수준보다 어렵게 출제했기 때문에 성적보다는 틀린 문제들이 왜 틀렸는지, 헷갈렸다면 왜 헷갈렸는지를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특히, 2013학년도 10월 고3 연합학력평가와 비교해 볼 때, 대체로 화법, 작문, 문법 영역은 많은 연계 양상을 보였습니다.

A형 1번은 1회 1번의 문제 유형과 선지 구성이 동일하고,
2번은 1회 2번의 문제 유형과 선지 구성이 동일합니다.
3번은 1회 3번, 4번의 문제에서 쓰인 개념이 유사하고,
4~5번은 1회 4~5번, 2회 4~5번과 지문의 구성 및 내용, 문제 유형도 유사합니다.
7~8번은 1회 9~10번, 2회 10번, 3회 6~7번의 지문 구성 및 문제 유형이 동일하고,
9~10번은 1회 7~8번, 3회 9~10번의 지문 구성 및 문제 유형이 동일합니다.
13번은 1회 12번과 문제 유형과 내용에 쓰인 개념이 동일하고,
14번은 2회 12번의 문제 유형과 동일합니다.
15번은 2회 14번의 문제 유형 및 내용에 쓰인 개념이 동일하게 출제되었습니다.

B형의 경우 B형 1~3번은 2회 1~3번과 지문의 구성 및 내용, 문제 유형 모두 유사하고,
4~5번은 1회 4~5번, 2회 4~5번과 지문의 구성 및 내용, 문제 유형이 유사합니다.
6~7번은 2회 7~8번과 지문의 구성 및 문제 유형이 동일합니다.
9~10번은 1회 7~8번, 3회 9~10번의 지문 구성 및 문제 유형이 동일합니다.
11번은 1회 11번과 문제 유형이, 2회 11번과 문제 유형 및 내용에 쓰인 개념이 유사하고,
12번은 3회 13번과 문제에 쓰인 개념과 문제 유형이 동일합니다.
14번은 2회 15번의 문제에 쓰인 개념과 동일하고, 15번은 2회 14번의 문제 유형 및 내용에 쓰인 개념이 동일하게 출제되었습니다.

                                                                                                                                                                        

덧붙여,

오탈자 및 문제의 난이도로 인한 문제 모두는 전적으로 저의 책임이기 때문에 진심으로 죄송하단 말씀을 드립니다. 제가 냈기 때문에 모두 좋은 문제다라고 말씀드릴 순 없지만, 진심으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한 문제 한 문제 심혈을 기울여 수많은 기출 문제들과 현 고1, 2 교과서, 교육과정 해설서, EBS 교재 연계 등을 염두하며 만들었습니다

아무래도, 오프라인에 발간하는 첫 모의고사이기에, 또한 수능 직전 실력을 점검할 수 있는 모의고사이기에, 일반적인 평가원의 난이도보다는 높여서 출제하는 것이 목적이었고, 다 맞고 안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틀린 문제는 기억에 남아 실력을 다시 점검할 수 있다고 생각한 부분이 난이도 조절의 실패에 결정적인 요인이었던 것 같습니다. 혼자서 문제를 만들고 검수까지 모두 마치다 보니 해석상의 문제로 인한 복수정답의 가능성에 대해서도 짚어보기가 힘든 부분도 사실이었구요

특히 올해는 A, B형으로 나뉜 첫 해였기 때문에 화법 · 작문 · 문법의 경우 일반적인 평가원 문제보다 난이도를 높여 출제했고, 독서와 문학은 기존 수준을 유지하려 애썼습니다

오탈자를 모두 잡고, 복수 정답 가능성이 있는 문제들의 오류를 모두 수정한 후 문제의 난이도를 낮춰 재판 인쇄를 하는 것도 고려해 보았으나 최소 10일 이상이 걸려 포기했습니다.
그래서 지금 제가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수정본 제작밖에 없다고 생각하여, 현재 구매한 학생들이 오탈자가 모두 교정되고, 난이도가 수정된 문제를 받아보실 수 있도록 2쇄 수정본을 제작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총 23명으로 구성된 수능 국어(언어) 1등급 출신의 검토진이 모든 문제를 검수하였고, 해당 검토진 명단은 파일 안에서 확인하실 수 있도록 같이 수록하였습니다. 현재까지 문제가 되었던 모든 부분들과 검수하며 추가로 확인된 부분들, 난이도를 조정한 부분들이 모두 반영되었으니 구입하셨던 학생들은 반드시 다운받으셔서 문제를 확인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


 

저의 노력이 어떻게 되었건, 저에게 비난하시는 모든 부분들은 괜찮지만,
조금이라도 학생들의 마음을 다치게 한 부분이 있었다는 것은 정말 가슴이 아픕니다.
다시 한번 죄송하단 말씀을 드리고,
남은 시간동안 충분히 기적을 이뤄낼 수 있는 시간이니
지금까지의 자신의 노력을 믿고 조금만 더 힘내 주세요
.

1. 강창수 – 성균관대학교 시스템 경영공학과 2. 고대호 –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3. 권민성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4. 김강은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 김경민 – 고려대학교 정경학부                 6. 김재원 –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7. 김채원 –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8. 류정민 –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9. 문정원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0. 박보금 – 홍익대학교 영어교육학과        
11. 박소정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12. 심연정 –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13. 안정웅 –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14. 윤나영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5. 이동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16. 이혜진 –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7. 이희인 – 고려대학교 컴퓨터통신공학부  18. 장가현 – 고려대학교 국제어문학부       
19. 장해경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20. 전경모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학과
21. 최호영 – 경희대학교 행정학과              22. 한상문 –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23. 현건우 – 고려대학교 영어교육과

[1~2] 화법 – EBS 수능특강 A형 p. 134 변형
3. 화법 – EBS N제 A형 p. 67 변형
6. 작문 – EBS N제 A형 p. 28 변형
[7~8] 작문 – EBS 수능특강 A형 p. 62 변형
[16~17] 독서(인문) - EBS N제 A형 p. 64 변형 “도덕지식의 주관적 정당화 조건 고자와 맹자의 논쟁”
[18~19] 독서(과학) - EBS 인터넷 수능 A형 p. 182 실전 2회 19번 변형 “슈퍼 태풍의 도래”
[20~22] 독서(기술) - EBS N제 A형 p. 79 “4지 교차로와 회전 교차로”
[23~25] 독서(사회) - EBS 수능완성 A형 p. 142 “권력 행사의 요건”
[26~28] 독서(예술) - EBS 수능완성 A형 p. 35 “19세기 낭만주의 표제 음악에 대한 이해”
[34~36] 현대소설 – 김유정, 금따는 콩밭 - EBS 인터넷수능 A형 p. 112 변형 / 비상교육(2), 디딤돌(1), 유웨이(1)
[37~39] 고전시가 – 정극인, 상춘곡 - EBS 인터넷수능 A형 p. 90 연계 / 미래엔(2), 신사고(2), 지학사(권)(2), 해냄(2), 비상(1)
고전시가 – 송순, 면앙정가

[40~42] 고전소설 – 유득공, 유우춘전 - EBS N제 A형 p. 100 변형
[43~45] 극 – 유치진, 소 - EBS 인터넷수능 A형 p. 181 변형 / 비상(1), 신사고(1), 지학사(1)

A형 2회
[6~7] 작문 – EBS N제 p. 26 변형
[16~18] 독서(사회) - EBS 인터넷수능 A형 p. 212 “창조적 소비”
[19~21] 독서(과학) - EBS 수능특강 A형 p. 156 “열팽창”
[22~24] 독서(기술) - EBS 수능특강 A형 p. 139 “키보드 회로의 행렬 구조와 교체 키의 기능”
[25~28] 독서(인문) - EBS 수능완성 A형 p. 59 “현실을 떠난 이상은 공염불이다”
[31~33] 현대시 – 이육사, 광야
[34~36] 현대소설 – 박완서, 나목 - EBS 수능완성 A형 p. 69 변형
[37~39] 고전시가 – 안조원, 만언사 - EBS 수능완성 A형 p. 148
고전시가 – 정서, 정과정 - EBS 수능특강 A형 p. 261 / 지학사(권)(2), 비상(1), 신사고(1)
[40~42] 고전소설 – 작자미상, 수궁가 - EBS 인터넷수능 A형 p. 155 변형 / 신사고(1)
[43~45] 수필 – 김소운, 피딴문답 - EBS N제 A형 p. 113 변형

A형 3회
[16~18] 독서(기술) - EBS N제 A형 p. 88 “뇌영상 기술” , EBS 수능완성 B형 p. 87 “방사성 동위 원소를 활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 (PET)”
[19~22] 독서(과학) - EBS N제 A형 p. 68 “티코 브라헤와 새로운 우주구조”
[23~25] 독서(사회) - EBS N제 A형 p. 180 “협상의 프레임과 정보 제공”
[26~28] 독서(인문) - EBS 인터넷수능 A형 실전 4회 “전통 시대의 지리학”
[31~33] 현대시 – 신경림, 목계장터
[34~36] 현대소설 – 오정희, 유년의 뜰 - EBS 인터넷수능 A형 p. 128 변형
[37~39] 고전시가 – 작자미상, 청산별곡 - EBS N제 A형 p. 92
고전시가 – 이황, 도산십이곡 - EBS 인터넷수능 B형 p. 96
[40~42] 작자미상, 옥단춘전 - EBS 수능완성 A형 p. 65 변형
[43~45] 극 – 이근삼, 국물 있사옵니다 - EBS 수능완성 A형 p. 125 변형

B형 1회
[17~19] 독서(인문) - EBS N제 A형 p. 64 변형 “도덕지식의 주관적 정당화 조건 고자와 맹자의 논쟁”
EBS 인터넷수능 B형 p. 244 변형 “덕치와 법치”
[20~22] 독서(사회) - EBS 수능완성 B형 p. 13 변형 “문화 확산의 양상”
[23~25] 독서(예술) - EBS 인터넷수능 B형 p. 220 변형 “베토벤 음악의 음악사적 의미”
[26~28] 독서(과학) - EBS N제 B형 p. 68 변형 “별까지의 거리 측정”
[31~33] 현대시 – 정지용, 바다9 EBS N제 B형 p. 117
- 이용악,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서 EBS N제 B형 p. 109
[34~36] 현대소설 – 황순원, 너와 나만의 시간 - EBS 인터넷수능 B형 p. 123
[37~39] 고전시가 – 정극인, 상춘곡 - EBS 인터넷수능 A형 p. 90 / 미래엔(2), 신사고(2), 지학사(권)(2), 해냄(2), 비상(1)
- 송순, 면앙정가
[40~42] 고전소설 – 박지원, 예덕 선생전 - EBS 수능특강 B형 p. 249 / 천재(고)(2)
[43~45] 극 – 유치진, 소 - EBS 인터넷수능 B형 p. 189 / 비상(1), 신사고(1), 지학사(1)


B형 2회
[17~20] 독서(인문) - EBS N제 B형 p. 52 변형 “칸트와 밀의 윤리관”
[21~23] 독서(사회) - EBS 인터넷수능 B형 p. 212 변형 “창조적 소비”
[24~26] 독서(예술) - EBS 인터넷수능 B형 p. 169 변형 “사진의 탄생과 회화” , EBS 수능특강 A형 p. 158 변형
“개념상과 정면성의 법칙”
[27~29] 독서(과학) - EBS 인터넷수능 B형 p. 91 변형 “배탈의 이유”
[31~33] 고전시가 – 안조원, 만언사 - EBS 수능완성 B형 p. 147
- 정서, 정과정 - EBS 수능특강 A형 p. 261 / 지학사(권)(2), 비상(1), 신사고(1)
[34~36] 고전소설 – 작자미상, 홍계월전 - EBS 인터넷수능 B형 p. 175 / 비상(1), 비상(2), 신사고(2)
[37~39] 현대시 - (가) 박재삼, 겨울나무를 보며 - EBS N제 B형 p. 133
- (나) 김춘수,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 EBS N제 B형 p. 117
[30~42] 현대소설 – 박완서, 나목 - EBS 수능완성 B형 p. 71 / 해냄(2), 천재(김)(1)
[43~45] 수필 – 김소운, 피딴문답 - EBS N제 B형 p. 113

[17~19] 독서(인문) - EBS 수능완성 B형 p. 36 변형 “역사가는 사료의 가치를 어떻게 판단할까?”
[20~22] 독서(사회) - EBS 인터넷수능 B형 p. 85 변형 “경제학에 대한 다른 시각”
[23~25] 독서(예술) - EBS 수능특강 B형 p. 150 변형 “시뮬라르크의 예술”
[26~28] 독서(기술) - EBS N제 B형 p. 변형 “뇌영상 기술”, EBS 수능완성 B형 p. 87 변형

“방사성 동위 원소를 활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31~33] 고전시가 – 작자미상, 청산별곡 - EBS N제 B형 p. 92
- 이황, 도산십이곡 - EBS 인터넷수능 B형 p. 96
[34~36] 고전소설 – 김시습, 이생규장전 - EBS 인터넷수능 B형 p. 155 / 미래엔(2), 비상(2), 신사고(2), 창비(2), 천재(고)(2)
[37~39] 현대시 – (가) 정호승, 슬픔이 기쁨에게 - EBS 인터넷수능 B형 p. 75
- (나) 김광규, 대장간의 유혹 - EBS 인터넷수능 B형 p. 83
[40~42] 현대소설 – 현진건, 술 권하는 사회 - EBS 인터넷수능 B형 p. 114 / 신사고(2)
[43~45] 극 – 이근삼, 국물 있사옵니다 - EBS 수능특강 B형 p. 125

 

rare-문법의끝★ rare-시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