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y14 [311050] · 쪽지

2013-05-20 00:52:21
조회수 1,551

포카칩모의 A형 후기와 함께 드는 생각( 주의 : 어그로성이 강함..+ 스포)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3684044

현역 고3 문과고요, 언어, 외국어를 못하면 수학이라도 잘해야제! 라는 생각으로 오늘 시험에 임했네요.(어차피 수시 등급 맞추는게 목표라서..)
학원갔다오니 10시 20분이 넘어서;; 결국 온라인으로 채점하진 못했지만 A형 답게 노가다를 열심히하면서 풀었네요. 이 점수가 6평, 9평, 수능때도 유지되면 참 꿈만 같겠네요..

전체적으로 작년 수능보다 어려웠던 것 같습니다. 30번 같은 경우에는 행렬로 발견적 추론 문제가 나올줄은 몰랐네요(발견적 추론 맞죠?)

1,2,3,4 : 첫 장답게 실수만 하지말자는 생각... 이번엔 안해서 다행이네요

6번 : 이런 유형자체는 익숙한데 표현은 참신했네요 다들 쉽게 풀었을 것 같네요
9번 : 시간재고 푸는 형식이라 더 깔끔한 풀이가 있을 것 같은데.. 전 걍 계산 조금 해서 쉽게 풀었습니다.
10번 : 무한등비급수를 안한지 오래되서 마름모 꼴 보고 반가웠음(진짜 오랜만에 본 듯) 초항은 쉽게 구했는데 공비를 어케구하지라고 잠시 고민하다가 삼각    
         형 넓이로 풀었네요. 다른분들은 어떻게 푸셨는지 궁금..

13번 : 눈으로도 풀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그냥 계산했어요
14번 : n=2를 기준으로 변한다는 사실만 캐치한다면 쉽게 풀리는 문제였죠.
15번 : 순서도가 나올 줄은 몰랐습니다.( 물론 기출 풀 때 6평엔 간간이 있긴했던거같은데.) 22^2 +1이 나오더라고요.
16번 : 전형적인 행렬 ㄱㄴㄷ 문제.. 항상 살 떨리게 풉니다
17번 : 예비시행 증명문제처럼 행렬과 수열의 결합이 나왔네요. 아무래도 이번 수능 역시 행렬과 수열의 결합이 문제로 나올 것으로 포카칩님이 생각하신 것 같네요

19번 : 한석원 쌤 크포에 있던거랑 비슷해서 쉽게 풀었네요.
20번 : ㄷ선지가 참신했습니다.
21번 : 역시 21번은 미분이죠, f(x) 개형그리고 g(x)를 이리저리 돌리다보면 접점에서의 기울기가 최대임을 알 수 있습니다.
26번 : 2012 수능이었나 그 때도 이런 쉬운문제가 4점이었던 적이 있었죠..
27번 : 처음엔 직관풀이에 도전했는데(휘종찡..) 내공이 약한건지 잘 생각이 안 나서 계산했어요...아 ㅠ
28번 : 아 오늘의 A형 킬러 중 하나였습니다. 처음엔 당황스러웠는데 우선 n=2 를 대입해서 a1을 구하고 시그마를 풀어보니 느낌이와서 Sn을 구할 수 있었네요.

29번 : 지표와 가수 역시 6평에 자주나오는 소재인걸로 아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네요. n이 한자리 수일때는 다되고 n이 두 자리 수 일때는 n>= 40 부터 다 됩니다.(99까지)

30번 : 문제보자마자 당황스러웠네요. 행렬로 발견적 추론이라니.. 일단 노가다를 뛰어보자라는 생각으로 적어나갔는데 처음엔 계속 적어나가도 안보였는데 어쩌다보니 홀,짝 규칙성이 보여서 갯수세는거에만 주의해서 가까스로 풀었네요.

온라인 모의에 못넣어서 아쉽지만..(그래서 긴장이 덜되서 잘 푼 것 같아요) 그래도 오늘 하루는 저한테 칭찬을 해주고픔.. ㅠ (수학이라도 잘해야지...)

그리고 또 느낀건 문제를 푸는 능력과 만드는 능력은 분명히 다르다는것... 진짜 문제 하나하나 어떻게 만드시는지 정말 멋있어 보이네요... 문제 만들 때 어떻게 아이디어를 생각해내시는지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습니다. 포카칩 짱짱맨ㅎㅎ 좋은 문제 풀어서 6평대비 좋게 한 것 같습니다. 다들 좋은 밤 되세요.

P.S 이글 보시고 기분 나쁘실 분들도 계실거에요... 저도 처음부터 수학을 잘 하지는 못했어요(고1 3월 3등급) 그 이후에 다른과목 공부량을 줄여가면서 수학을 열심히 하다보니 이과로 가서 잘 할 정도는 아니어도 문과에서 못한다는 소리는 안듣는 수준까지는 올라왔어요.. 다들 열심히해서 모두 만점받았으면 좋겠어요.ㅎ (저도 같이 ㅎ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삼라만상 · 416268 · 13/05/20 01:01 · MS 2012

    허허.. 겸손하시네요. 언어랑 외국어도 충분히 잘하시는걸로 알고있는데 말이죠.

    그렇게 말씀하시면 저는 ㅠㅠ

  • Shy14 · 311050 · 13/05/20 01:02

    국어는 평가원것만치면 2~3등급나오네요.. 기출풀면 ㅠ

  • 미치go · 447962 · 13/05/21 11:20

    15번 해설좀 해주실래요? 15번만 계속 못푸네여ㅠㅠ

  • Shy14 · 311050 · 13/05/21 23:35

    B=23?일 때 예로써 끝나야하는 A를 찾는것이 목표입니다. 이 때 순서도를 잘 해석해야하는데요.. B= 23이려면 B= 22일 때 B^2= A일 때 B =23 이 됩니다. 즉 A = 484(22^2)이면 B^2= A이므로 B가 1 더해져서 23이 최초로 됩니다. 그러면 23^2> 22^2이므로 예로 가서 A= A+1 이 되어 484 +1 =485가 인쇄됩니다. ㅂ ㅅ 같이 쓴거같아서 요약하자면

    묻는것이 B=23?이므로 B가 23이 될 때를 주의해야하는데 이 때 B=23이기 위해선 B=22일 때 B^2= A가 되어야지 B가 1 더해져서 23이 됩니다. 그 이후에는 23^2 > 22^2 이므로 A= 22^2 +1이되어 485가 됩니다. 글로 쓰는지라 설명이 빈약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 미치go · 447962 · 13/05/22 12:44

    484까지 밖에 안나와서 뭐가 문젠가 했더니 이거였네요ㅋㅋㅋ 감사합니다!

  • 아트수능 · 395978 · 13/05/23 18:31 · MS 2011

    28번 어케푸나여? 저거 아무리해도 안나오던데 n이 2부터 시작하는건가여?

  • Shy14 · 311050 · 13/05/23 21:45

    n=1을 대입하면 어떤정보도 얻을 수 없어서 n=2를 대입해보면 됩니다. 그러면 a1을 알게되지요.

  • ㅁㄴㅇㄻㄴㅇㄹㅁㄴㅇㄹ · 424908 · 13/05/25 15:58 · MS 2012

    21번좀알려주세요!

  • Shy14 · 311050 · 13/05/25 18:10

    f(t)와g(t) 중에서 크지 않은 값을 h(t)로 정의했는데 이 함수가 한 점에서만 미분가능하지 않도록하는 a의 최댓값이 얼마인지가 문제에서 묻는 건데요 우선 f(x)를 그릴 수 있지요? 그러면 그려봅니다. 그리고 g(x) =ax이므로 우리가 그릴 수 있는 그래프니깐 일단 아무데나 그려봅니다. a를 점점 크게해서 그려보면 어느순간에 f(x)와 g(x)가 접하게 되는데요 처음 만나는 점 이전의 x좌표에서는 g(x)가 더큰데 그 점에서 역전되므로 그 곳에서 미분이 불가능합니다.(실제로 계산해도 알 수 있습니다.) 또 다시 만나는 점은 접점이므로 그 곳에서는 f(x)>g(x)임이 변함이없고 미분도 가능합니다. 만약 a가 더커져서 세 점에서 만나게 되면 미분 불가능한 점이 한 점이 아니고 두 점 이상이 나오기 때문에 a가 딱 접선이 되어야합니다.

    말을 너무 바보같이 했네요. 요약해보면

    1. f(x), g(x)를 그린다.
    2. 변수인 a를 점점 크게해보면서 변화를 살펴본다.
    3. g(x)가 f(x)에 접할 때 a가 최대이면서 미분불가능한 점이 1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