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진영T [816098]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20-06-19 16:26:12
조회수 3,387

[최진영T] 지1 6평 20번에 자료와 출처등에 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30717842

안녕하세요 지구과학T 최진영 입니다.


손글씨 해설을 올린지 몇시간 되지 않아 추가로 글을 올리게 됩니다.


생각 보다 지1 20번 자료에 관한 질문이 많았습니다. 


이에 관해서 저도 확신을 가질 수 없으나 자료를 바탕으로 클써봅니다. 


( ※ 제가 무조건 맞다거나 정답이라고 할 수 없으며, 추후 평가원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정정할 수도 있습니다.)

경험상 의견상 매우 확율이 낮지만요....


1. 발문

발문이 조금 모호한 점이 있으나 '기상 위성'  으로 관측하였다고 하였고, 지1 범위내에서 기상위성은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이 존재하며, 구름의 높이나 두께를 판단한는 내용을 다룹니다.

따라서 우리가 알고 있는 개념으로만 전개 하면

 기상위성 + 적외선 방출 복사 에너지 →  적외선 영상 → 적외선 영상은 구름의 고도 판단 할 수 있는 영상


2. 자료 

지1 20번 자료 와 관련하여, 생각보다 논란도 많고 학생들이 혼동하는 것같아 참고 자료 및 출처가 된 자료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사실 이 부분때문에 정정 확율이 낮다고 생각합니다.


아래는 아마 자료의 출처가 된 그림 (자료) 일 듯 합니다. ( 삼엽충급 전공서 자료)



a 그림의 설명을 보면 


Outgoing Longwave Radiation (OLR) 라고 나와있습니다. 

이게 뭐냐 


자료로 설명드려야 겠죠


간단히 정리하면

구름의 범위 / 구름의 높이에 적외선 복사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1, 2번의 내용을 보시고 더 고민할 것인가? 받아들일것인가? 


결정하시면 될 듯합니다.



마지막으로

사실 저도 어떤 의견이 맞다 단정짓기는 어렵고 여지가 있습니다.

이제는 평가원이 정정해주면 정정하지 않으면 그런가 보다 하고, (수능 아니니까요)


더 고민하기보다는 전체적인 6평 분석과 앞으로의 공부를 진행하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학생분들은 절대 찾거나 하지 말라고, 자세한 출처나 주소등은 남기지 않았습니다. 문제가 되는 경우 삭제 하겠습니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돌이공돌이 · 852680 · 20/06/19 16:30 · MS 2018

    구름높이로 적외선 에너지양을 추론할 수 있는 개념이 지1에 나오나요?

  • 최진영T · 816098 · 20/06/19 16:33 · MS 2018

    그 부분은 조금 과하지만 빈의 법칙을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온도만 고려한다면 복사 세기가 커지는거이구요. 저도 조금 애매하지만 경계선상 개념일 것 같아요

  • 문돌이공돌이 · 852680 · 20/06/19 16:36 · MS 2018

    솔직히 평가원이라 탓하기도 그런데 너무 과하지않나싶기도 해서여 감사합니다 ㅠㅠㅠ

  • 무용지용 · 573554 · 20/06/19 16:50 · MS 2015

    기상위성은 날씨뿐만아니라 기후변화도 관측하며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해수 온도또한 관측대상이 됩니다

  • 엄기은T지구과학연구실 · 506071 · 20/06/20 02:30 · MS 2017

    해수 온도도 관측 대상입니다만, 이 문항에서 기상위성의 적외선 데이터를 받는다는 것은 구름이 존재할 경우, 당연히 해수면이 아닌 구름이 인공위성과 가깝기 때문에 인공위성의 데이터를 받아오게 되는 구조라고 보시면 됩니다. OLR anomalies는 실제로 그러한 데이터를 확인하는데 사용되구요

  • 무용지용 · 573554 · 20/06/21 16:19 · MS 2015

    그리고 6모에선 OLR anommaly 라고 안했죠 그냥 적외선 방출량 편차라고 했지

  • 무용지용 · 573554 · 20/06/21 12:29 · MS 2015 (수정됨)

    동태평양 수온이 낮아져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기 어려운 라니냐 시기에도 해수표층에서 방출되는 적외선량이 평소보다 작게 측정된다는게 이 문제 오류 논란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