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와 과학자"-이과생들이 맞닥뜨릴 관문.
게시글 주소: https://iu.orbi.kr/00026932248
본 글은 수능영어와 상관 없는, 자연계열 학생들에게 해당되는 글 입니다.
수능이 끝난 지금, 지긋지긋한(?) 영어와의 관계는 사실 끝이 아니고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본 글에서는 분자생물학 저널에서 저자들이 '비 영어권 사용자들이 맞닥트릴 관문, 그리고 서로 간의 태도'에 대한 글에 대해 간단히 요약하여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들이 영어를 받아들일 태도, 혹여 수능 이후 학계 진출에 관심이 있어 조금이라도 발을 담구어 본다고 하다면 '영어를 이렇게 써야겠다, 혹 이런 방향성을 가지고 공부해야겠다'라는 생각을 가지신다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논문 원본: https://doi.org/10.1091/mbc.e12-02-0108
현재, 전 세계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비율은 약 15%에 지나지 않고, 이 중에서도 모국어가 영어인 비율은 5%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영어는 현재까지 전세계적인 과학적 언어(universal scientific language)이고, 이러한 영어 사용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 시련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본 편집본에서는 연구자들, 논문 작성자들, 그리고 논문 편집위원들이 이러한 역경들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이를 통해 현재 종사하고 있는 연구 현장1)의 수준을 높이고 국제적인 과학적 소통을 성장시키고자 합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 논문과 연구비 수주 계획서 작성, 구두발표 준비, 다른 사람과 영어로 직접 이야기하는건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에 비해 아주 어려운 장벽이 됩니다. 조그만한 뉘앙스 차이를 주면서 이야기하는건 원어민에게는 굉장히 쉬운 일이지만,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어려운 일이거나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 됩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주로 호소하는건, 논문의 리뷰어가 언어에 가려진 (논문의) 과학적 결과나 논리성을 보는 것 보다는 영작 실력을 비판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실이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공평한 논문 심사를 받기 어렵게 만들며, 궁극적으로 논문이 출판되는데 어렵게 만듭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과학자들의 국제 사회 속에서 논문을 작성하고 평가하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1.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도 (논문의) 문법 오류, 구문 오류, 그리고 용례 오류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논문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논문 내용이 명료하며, 간단하며, 논리적이면서 간결한 경우입니다.
우리는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도 (비록) 좋은 문법으로 논문을 쓰지만, 그럼에도 논리적으로 혼동이 되는 논문을 작성하는 걸 보았습니다.
2. 가능하다면, 논문 심사위원과 편집위원들은 영어 사용에서의 문법, 구문, 관용어구의 잘못된 사용만 보지 말고 이를 넘어서2) 보길 바랍니다.
3.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의 논문을 영어 사용 오류만을 가지고 논문 개제를 거부하거나(reject), 혹은 심하게 비판해서는 안 됩니다. 논문 심사위원들과 편집위원들은 영어 오류가 있다면 건설적인 비판을 해야 하며, 잘 이해가 되지 않는 예시나 문단을 집어서 개선 방향에 대해 제시해야 합니다. 또한 (이들은) 저자들이 영어가 유창한 사람들의 도움을 받기를 권해야 합니다.
4.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은 논문 심사위원과 편집위원, 그리고 논문 저널 관계자들이 영어 수정을 위해 많은 시간을 들일 수 없다는 사실을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은 국제 과학 사업에 참여하는 능력이 명료하고 단순하면서 논리적이며 간결한 영어로 원고를 제작하는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영어는 사실상(de facto) 과학의 세계적 언어라는 사실은 쉽게 바뀌지 않을 것입니다. 국제 사회의 구성원들간의 대화를 가급적 좋게 만드는 것과, 이를 통해 과학적 발전을 더 진보시키는 것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사람들이 맞닥트린 장애물 제거에 달려 있습니다.
이러한 이상은 모든 과학 사회 구성원들이 함께 협력할 때 이루어 질 것입니다.
1) playing field가 원문으로 직역하면 '운동장'이지만, 비유에 맞게 번역하였습니다.
2) 생략되어 있지만, 문맥상 논문의 논리를 의미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 나 미쳤네 0
오르비 조금만 한다 해놓고 몇시간을 해버렸네 미친놈
-
점공 허위표본 1
1등 갑자기 표본에서 사라졌는데 허위표본인거 확실할까요? 진학사가 착각했을 가능성은...
-
씨발과에60명이넘는데허용인원이50명이면어쩌라는거임
-
거의불가능인가
-
좋아요 10개면 이륙 아니었나
-
2035년 2월 0
정확히 10년 뒤 내가 순탄히 내 계획대로 간다면 박사학위를 받게 될 시점 ….....
-
여캐일러 투척 3
-
ㄷㄷ
-
금요일에 칭구랑 마나카페가서 8시간 잇기로 햇슴미다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슴미다
-
기습 눈 ㅇㅈ 10
.
-
진짜 개쫄리네요...
-
43시간 전. 4
슬슬 긴장되네 다 떨어지면 어쩌지
-
타과가 우리과수업응 굳이 신청할거같진않긴한데
-
유령팔로워 1명
-
미용실들 광고에 사진 쓰는거 자기네랑 관련 없어도 막쓰는구나 0
유튜브 많이나오는 규남이 사진 가지고 홍보하는 글 인스타에서 봤는데 김규보 배우...
-
24시간 뒤면 학과 정모에 있을 거고 36시간 뒤면 이나라에 없을 예정이네 참 기구하다
-
더프 0
3월 더프 접수 보통 언제부터 시작함?
-
확통런 하지마라 2
미적이 등급따기 더 쉽다 확통은 공통 다맞춰야함ㅋㅋ
-
돌거 같냐..? 작년에 전전만 모집할때는 8바퀴돌았는데 반타작으로 준다 해도...
-
아빠랑 500걸고 내기했는데 누가 뭐 걸었는지는 비밀이에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크아아아악
-
그러면 사탐서바 못구하는거?? ㅅㅂ 시대카르텔 척결좀!!!!
-
사람 죽을때 공부하고 있다는 알리바이 알빠노 내가 수상하다는데~
-
9모가 커하는 아니고 6, 9 모두 영어 빼고 1이었습니다.. 월례고사도 엥간하면...
-
캬루 14
캬루
-
안녕하세요, 저번에 올렸던 1~3회분 합본 문제지를 마지막으로 당분간은 문제 제작을...
-
,,?
-
사탐2 약대 0
사탐 2개로 약대 가려면 수능을 얼마나 잘봐야 하나요?
-
화1사문 6
에바임?ㅋㅋ 현역이고 작년 내신 물화생했는데 고2모고 기준 화학은 계속 1 떴고...
-
입결분석좀 6
둘다 입결인데 첫번째 사진은 문이과 누백으로 따졌을때 냥인문>중상경인데 문과만으로...
-
이번에 한의대 붙었는데 의,치대가고 싶어서 반수를 생각하고 있어요.. 아마...
-
Fim 2
이거 재밋나
-
공부방법질문 3
안녕하세요 오르비에 처음 글 써보네요ㅠ 혹시 다들 공부하실때 기준을 뭐로 잡고...
-
몬스터 먹고시픈뎅
-
서바이벌 어떻게구함? 지방이라 당근도못해
-
전남대 전기공 6
계약인가요? 어디계약이지...
-
25살 수능 고민 10
25살 미필 수도권 교대생 졸업 예정 4학년 때 임용 안 보고 수능 봤어요 25수능...
-
나 6모 보지 말라고? ㅠㅠ
-
보닌 고2때 종의기원1만 읽고 다읽은척 세특발표함 들킴 ㅠ
-
여기가 시베리아인가요
-
오티날에 여행중이라 못가는데.. 크게 학교생활에 지장있진 않나요?
-
카페인 너무 안 받아
-
972는 불가능한가요?
-
화1 23급정도 다맞을 자신 있다 없다 투표한번 해봅시다
-
카페인빨까 2
지금몬스터마시고 세시에잘까
-
설대 조발 3
내일 5시가 정배인가요? 핑프ㅈㅅ쳐도안나와서..
-
수2 N제 68문제
어떤방식으로 영어를 공부하면 좋을까요?
ㅇㄷ 영어 2등급이 대학가서 영어 황되는 방법
1) 본인의 needs에 대해 다르겠지만
이제 대학교에 들어가서 가장 필요한건 '쓰기'와 '말하기'입니다.
읽기는 당연히 기본이고요.
제가 최근에 오르비에서 shean님이 '지금까지 했던걸 입으로 하면 된다'라고 한 댓글을 본 거 같은데, 아마 그런 식의 맥락으로 준비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쓰기도 많이 쓰고, 많이 고쳐봐야 상승합니다.
2) 공인영어 같은 경우 '시험'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해당 교재와 시험 성격에 맞춰 공부하는 걸 권해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제가 수능은 약간 스킬적으로 푸는 느낌이 있었어서 실제 읽기 능력은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현재는 텝스 공부하고있는데, 1) 텝스 공부가 논문 같은 학술적인 글을 읽는 데 도움이 될까요? 2) 영자신문이나 논문 등을 계속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될까요?
1) 도움은 됩니다. TEPS는 아카데믹한 글을 다룹니다.
다만 난이도 자체가 높아서 결국 '독해력 상승'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실제 읽기 능력을 추구하다가 오히려 TEPS 점수를 목표로 할 경우 스킬에 의존하시지 않을까 조금 걱정됩니다.
2) 네 괜찮습니다.
다만 논문은 concise한 글이긴 하지만 전공지식이 있어야 하니 지금 입학하시는 거면 비추천합니다. 차라리 영자신문이나 CNN등이 어떨까요??
그런데 이런거는 동기의 문제가 있어서, 지속적으로 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저라면 1)을 우선적으로 할 것 같네요.
3) 요즘은 좋아요 받으려면 글 앞에 26) 써야 되나요???ㅠㅠㅠㅠ 저는 IMIN보시다시피 썩은물이라 잘 모릅니다
네 감사합니다 그리고 26 안붙이면 힘듭니다 ㅋㅋㅋ 메인글 보니면 학습글보다 싸움글이 더 인기가 많네요
아앗.....감사합니다
필수로 영어 강의 듣는걸 잘 이용해봐야겠네요